고양이 손님
히라이데 다카시 지음, 양윤옥 옮김 / 박하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고양이 기르는 사람을 '집사'라고 부르는데 주인이 도도하고 깔끔한 고양이의 모든 것을 챙겨주는 집사처럼 돌본다고 해서 '집사'라고 한다. 한번도 고양이를 길러 본 적도 없고 집사가 되어 본 적도 없다. 하지만 고양이를 너무 좋아하고 기회가 된다면 고양이 집사가 되고 싶기도 하다. 그런 고양이는 반려동물로도 인기가 많다. 오래전부터 고양이에겐 목숨이 9개라고 해서 신비스럽게 여겨지는데 <고양이 손님>에도 귀엽고 신비한 고양이 '치비'가 등장한다. 넓은 정원이 딸린 저택의 별채를 빌려 살고 있는 작가와 아내에게 어느날 치비라는 고양이가 찾아온다. 사실 치비는 옆집의 새끼고양이였지만 계속해서 부부의 집에 드나들면서 부부의 생활에 치비가 점점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치비는 사람에게 애교 많은 고양이는 아니다. 그래서인지 작가의 아내는 치비에게 관심은 가지지만 치비에게 다가가기 보다 치비가 드나들 수 있는 전용 문을 만들어주고, 쉴 수 있는 전용 공간을 만들어주며 자신의 관심을 표현한다.



그런데 옆집 고양이 '치비'는 '우리집' 고양이가 아니라 '옆집' 고양이이다. 우리집 고양이처럼 잘해 주었지만 치비는 그런 걸 아는지모르는지 아내의 마음을 서운하게 한다. 규슈 친척이 갯가재를 보내주었고 아내는 치비에게 그것을 주었는데 그 맛에 반한 치비가 계속 달라고 하다 그만 아내의 손가락을 물고 만다. 그래서 아내는 치비와 절교를 하게 되는데 다른 고양이들은 못드나드는 치비의 문까지 만들어 주었지만 아내는 그 일로 마음이 상하게 된다. 그리고 어느날 치비의 교통사고 소식을 듣게 된다. 집 근처를 걷고 있다 당한 사고였는데 큰 외상이 없어 괜찮을 줄 알았지만 치비는 그렇게 세상을 떠나게 된다. 아내는 너무 슬퍼했다. 치비의 주인인 옆집에 치비에게 꽃을 바치고 싶다고까지 한다. 아내는 흡사 아이를 잃은 슬픔을 느끼고 있었다.




 <고양이 손님>은 '치비'라는 고양이를 통해 소소했던 부부의 일상이 조금씩 즐거움과 기쁨으로 채워지는 것을 읽을 수 있다. 물론 치비가 떠난 뒤에 알게 된 치비의 존재감이었다. 이런 부부와 치비의 이야기는 간결하면서 섬세하게 그려져 있다. 일본의 고전시 하이쿠를 떠올리게 한다는 이 소설 <고양이 손님>은 묘사가 아주 돋보이는 소설이다. 우리나라의 시조와 비슷한 하이쿠는 글자수가 정해져 있는 형태로 <고양이 손님>도 계속 읽다보면 소설보다 장편시를 읽는 느낌도 든다. 그만큼 묘사가 시적이고 괜찮다는 것이다. 게다가 읽다보니 치비에 대한 애정도 생기는 것 같기도 해 즐거운 독서를 하지 않았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