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신 할망과 수복이 ㅣ 풀빛 그림 아이 69
김춘옥 지음, 장경혜 그림 / 풀빛 / 2018년 10월
평점 :
어느 나라도 나이를 셀 때 우리들처럼 세는 문화는 없다고 한다. 유일하게 엄마의 뱃속에 있는 시간까지도 나이로 계산한다. 아마 엄마 뱃속에서 있은 9개월의 시간은 '삼신 할망'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삼신 할망은 우리 문화에만 있는 '신'으로 아이를 점지해 준다고 한다. 아이는 삼신 할망이 주는 노란 생명의 꽃을 가지고 엄마의 뱃속에서 자라게 된다. 아이가 자라는 동안 삼신 할망은 아이가 저승 할망이 아이를 데려가지 못하게 보호해 주기도 한다. 수복이는 삼신 할망의 생명의 꽃을 받았지만 어디선가 나타난 저승 할망 때문에 넘어져 꽃잎이 떨어져 나갔다. 그렇게 조금 다친 꽃을 가지고 태어난 수복이는 가족들의 환영을 받으며 태어난다. 하지만 아직은 100일이 되지 않은 수복이는 귀신들을 막기 위해 대문에 새끼줄에 숯과 고추를 달아두어야 했다. 마을 사람들도 수복이가 태어난 것을 기뻐하고 궁금해하는데 100일 지나서야 수복이의 건강을 기원하며 떡을 나누어 먹었다. 100일 잔칫날에도 마을 사람들은 금줄을 보고 귀신들이 딸려 들어올까 봐 함부로 들어가지도 않았다. 그런데 마을 사람들이 모인 잔치자리에도 삼신 할망과 저승 할망이 함께 있었다. 시간은 더 흘러 수복이가 첫번째 생일을 맞이하게 되었다. 돌상에 흰 백설기와 붉은 수수팥떡과 경단,대추, 쌀, 돈, 책, 먹, 벼루, 무명 실타래 등이 올라가 있었다. 사람들은 수복이가 무엇을 잡을지 궁금했는데 수복이는 무명 실타래를 잡자 삼신 할망은 오래오래 건강하게 살라고 말했다. 수복이는 점점 삼신 할망과 저승 할망의 말소리를 들을 수 없게 되었고 나이가 들어 어른이 되었다. 아이를 낳고 손녀가 생겨 수복 할아버지가 된다. 그리고 손녀의 첫번째 생일을 위해 무명 실타래를 들고 만나러 가게 된다.
<삼신 할망과 수복이>는 아이의 건강함을 기원하고 아이들에게 우리나라의 삼신 할머니와 백일잔치, 돌잡이 등에 관한 문화도 이야기해줄 수 있는 그림책이다. 수복이는 건강하게 태어나지 못한 아이다. 삼신 할망이 주는 꽃이 그만 망가져 꽃잎도 떨어지고 줄기도 꺾여 있다. 그렇지만 가족들과 마을 사람들의 보살핌과 기원으로 수복이는 태어나면서부터 보호를 받는다. 수복이는 그렇게 조심스럽게 1살이 된다. 1살이 된 것도 축복하며 앞으로 아이가 건강하게 자라라는 염원을 담아 돌잡이를 하는데 요즘은 그 형태가 많이 달라졌지만 여전히 아이의 첫번째 생일에 꼭 필요한 행사다. <삼신 할망과 수복이>는 아이의 탄생을 축복하고 건강하게 자라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고 있는 동화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