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독파하는 타락론.백치 만화세계문학 (독서논술 만화 필독선) 16
사카구치 안고 지음, 조경미 옮김, 버라이어티 아트워크스 그림, 정채기 해설 / 신원문화사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카구치 안고의 타락론과 백치를 만화로 볼 수 있다. 글의 분위기와 만화의 그림체가 꽤나 잘 어울린다. 더군다나 백치의 경우 단편이기 때문에 줄글의 많은 부분을 살리면서도 만화에 이야기를 충분히 담아낸다. (타락론은 아직 읽어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다.)

‘타락론 전편 - 백치 - 타락론 후편‘이라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타락론> 안고가 직접 등장하여 이야기를 안내한다.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의 가미카제를 ‘공허한 아름다움‘이라고 칭한다. ‘천황제‘를 이용하면서 책임 회피의 수단으로 사용함에 일침을 가한다. 1945년 8월 15일 항복 이후, 미국의 지배하에 놓이게 된 일본의 장군들은 할복하지 않고 특공대 젊은이들은 암거래 상이 되고, 미망인은 새로운 남자를 물색하며, 아무것도 없는 여자들은 미군에게 몸을 판다. 안고는 이러한 ‘타락‘을 긍정한다. ˝타락하라! 가짜 기모노를 벗어던져라!˝
˝살아라, 그리고 타락하라.˝
˝타락할 길을 온전히 타락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구원하지 않으면 안 된다.˝

- 일본이 패전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서 타락론을 설파한 안고. 당시의 파급력은 상당히 컸을 것 같다. 패배감으로 물들어있던 일본 국민의 가슴을 요동치게 만들어 과거의 그늘에서 벗어날 수 있지 않았을까.
이러한 사카구치 안고의 철학은 작금의 시대에도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강요되는 기존의 질서에 굴하지 않고 자신만의 타락의 길을 걸어가는 태도 말이다.

<백치> 타락론을 소설화한 작품이라고 하는데, 지금의 나로서는 아직 긴가민가하다. 기존의 소설과는 다르게 다소 각색되었다. 상황에 알맞게 익살스럽게 또는 그로테스크하게 잘 그렸다.
한창 전쟁 중인 시기에 일본 본토에서 ‘이자와‘는 ‘200엔‘의 급료와 징용에 대한 공포에 자신의 젊음을 희생하며 살아간다. 그런 그는 ‘사요‘라는 이웃집 백치 여자를 방에 들이면서 자신의 비참한 처지에 둔감해져간다. 물론 공습으로 인해 금방 현실을 직시하게 되지만..
- 공습으로 인해 마을이 파괴된 후에 사요와 함께 미래를 바라보는 이자와의 모습은 기존의 소설에서는 느끼지 못했었다. 그래도 <백치>는 줄글이 더 좋긴 하다.

이전의 리뷰가 마음에 안 들어서 다시 읽고 기록한다.
안고의 글을 조금이나마 읽어보고 다시 읽으니 좀 더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