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의 미래 - 인공지능 시대, 지혜로운 읽기를 찾아서
류대성 지음 / 북바이북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본 순간 ‘읽기의 미래’에 대한 개인적인 의문을 풀어볼 수 있을 것만 같은 기대를 품게 되었다. 어쩌면 이 서평을 읽을 분들도 책에 대한 호기심을 갖고 있을 것이다. 미리 결론을 말해둔다면 읽기의 미래는 당신에게 달렸다. 무책임할지 모르지만;; “남들이 뭐라해도 이 책을 읽어보라!”고 권유하고 싶다. 


"독서가 아닌 읽기의 시대"라고 말하는 저자는 “우리는 왜 책을 읽는가?”로 물꼬를 틀고 독서의 본질을 차근차근 들려주며, “읽기의 미래는 전통적인 독서에 대한 오해와 편건을 점검하고 미디어리터러시로 확장함을 의미한다.”(47쪽)고 말한다.


이 책의 부제는 '인공지능 시대, 지혜로운 읽기를 찾아서'인데, 책을 다 읽고 나면 이 부제를 이해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나는 그랬다. 


저자는 “책도 읽고 디지털미디어도 읽고”를 강조하며 “읽고 상상하라”를 권유한다. 책을 소개하기 위해 요약해보려는 순간 이 요약정리가 고스란히 아니 더 정확히 차례에 나와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도 소개할 필요가.... 잠깐 고민하다가 책에게 양보하기로 한다. 여기서 잠깐, 차례를 읽고 본문을 읽는가? 개인적으로 차례가 중요하다는 것을 아는데 차례를 건너뛸 때가 많다. 책을 다 읽고 차례를 읽으니 오호, 이토록 아름다운 요약정리가 되어 있다는 것에 놀라게 된다. 읽은 만큼 보이는 까닭일까?


책에서 가장 유쾌했던 부분은 “미래를 위한 독서는 자신의 리듬을 만들어가는 즐거운 댄스다.”(233쪽)이었다. 그렇다면 춤을 춰볼까? 무슨 말인가? 그건 책 속에 나와 있다.


독서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말을 하고 또 해도 모자라는 듯, 저자 역시 곳곳에 ‘미래에 대한 독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읽기”를 격려한다. 저자는 해박한 지식과 다양한 인용으로 유려하게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책에 대한 맹목적 수용을 피하길 바라”는 저자의 목소리를 따라 가다 보면 이 책만큼은 맹목적으로 수용해도 좋지 않을까? 하고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책은 그저 자기 삶을 위한 동반자이며 생각의 도구일 뿐이다. 주체적인 삶을 살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며 책의 노예가 아니라 주인으로 살아야 한다. 비교와 경쟁이 아니라 자기주도적 독서가 필요하다. 인간과 자연에 대한 호기심, 자기 삶의 궁극적 종착지를 고민하는 태도가 성숙한 인간의 독서법이다.”(252쪽)


저자가 권유하고 있는 '성숙한 독자'는 이 책의 핵심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아마도 이 책은 이제 책읽기를 시작한 사람에게도 좋지만, 읽기에 대한 재미를 붙이고 있으나 새로운 방향을 찾지 못한 독자에게 적절해 보인다. 


‘닫는 글’ 에 앞선 책의 본문을 다 읽었는데 끝이 아닌 것만 같았다. 아직 저자가 못 다한 말이 있을 것만 같은 느낌이 들었다. 더욱이 '닫는 글'에는 상당한 집약이 보이는데 어쩌면 “읽기의 미래” 2권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스쳤다. 독자의 욕심인지, 책에 대한 아쉬움인지도 모르겠다. 어찌되었든 기타 등등의 이유로 2권이 나오기를 희망한다. 



책을 읽지 않는 사람이라면 독서처럼 느리고 답답해 보이는 방법에 어떤 비밀이 숨어 있는지 확인해봐야 하지 않을까. 이미 책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반복적인 패턴에서 벗어나 낯선 영역으로 자기 독서의 확장을 시도해보자. 자신의 직업, 일상과 관련된 분야도 좋고 평소 호기심을 느낀 분야도 좋다. - P2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