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이제 다시 희곡을 읽을 시간
이희인 지음 / 테오리아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쥐스킨트의 작품들이 리뉴얼시리즈로 출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그의 팬으로서 망설였다. <좀머씨 이야기>를 필사했던 때가 떠오른다. 그때 <콘트라베이스>도 읽었다. 다시 읽으면 어떨까?

 

이희인씨가 소개해준 스물 네 편의 희곡 속에 마지막으로 <콘트라베이스>가 있어서 기뻤다. 배우 명계남씨의 연극도 생각나는데 극장에서 보지 못하고 방송(EBS)으로 본 기억이 난다.

 

《자, 이제 다시 희곡을 읽을 시간》(이희인, 테오리아, 2019)에 소개된 희곡 중 읽은 희곡은 첫번째로 소개된 《오이디푸스왕》과 《콘트라베이스》다. 본 연극은 몇 편 된다. 새롭게 알게 된 고전연극들이 많지만 무엇보다 안다고 생각했던 작품들이 기억을 소환해주지 않아서 당황스러웠다. 말할 수 없다면 안다고 해서는 안되겠다는 반성을 다시 한다.

 

모두 스물네 편의 희곡이 소개되어 있는데 단편적이지만 핵심내용을 응축해서 알려주는 까닭인지 아주 편하게 읽었다. 저자는 희곡이 읽기 어렵지만 읽을 수 있다, 읽으면 좋다, 읽게 될 것이다를 예언해주는 듯하다. 덕분에 읽고 싶은 희곡이 많아졌다.

 

작품마다 칼럼 형식의 소개글과 덧붙이는 말로 구성되어 있는데 덧붙이는 말은 짜투리기사같은 느낌으로 작가의 특이한 이력이나 공연소개, 공연에 대한 감상을 전해주어 흥미로웠다. 무엇보다 짧은 소개글임에도 저자의 해박한 지식과 그것을 과시하지 않는 태도를 볼 수 있어 감탄했다. 변화된 자신의 견해를 솔직하게 들려줌으로서 지혜로운 모습까지 엿보였다.

 

책을 읽다보면 희곡, 연극에 대한 기본 지식을 알게 된다. 개인적으로 '역사극'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연극을 보는 관점에 대한 조언도 곳곳에 숨어있다. "쉽게 무대에 올리기 힘든 대작 연극들은 애써 챙겨봐야", "해석이 조금씩 달랐던" 작품들이 있으니 몇 번 보아도 괜찮다고 넌지시 알려주는 듯하다.

 

책을 읽고 가장 보고나 읽고 싶은 작품은 《메데이어》《고도를 기다리며》《사천의 착한여자》《밤으로의 긴 여로》그리고 《현자나탄》이었는데 저자처럼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에서 한나 아렌트가 레싱상을 수락했다고 해서 레싱이 누구인가 찾아본 기억 때문이다. "자신을 위해 싸우게 하는 신이란 대체 어떤 신인가?" 하는 물음이 뭉클했다.

 

닐 게이먼의 《굿닥터》도 보고싶다고 메모했는데 이미 보았다는 것을 알았다. 웃다가 울면서 본 <루나틱>이 《굿닥터》를 음악극으로 만든 작품이라고 한다.

 

코로나-19로 연극계 토대가 무너진다는 기사를 봤다. 공연예술인의 생계가 위협받는다는 내용이었다. 검색을 통해 2020년이 연극의 해, 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렇구나... 연극은 우리 곁에 계속 머물고 있었는데 너무 무심했던 것은 아닐까 마음이 씁쓸하다. 아이를 데리고 연극을 봐야겠다. 희곡도 한 편 읽어야지. 안톤 체호프의 "갈매기"를 읽고 싶었는데 이번에 읽어볼까?

 

이희인씨의 다른 책을 볼까? 도 생각했다. 책을 통해 희곡의 재미도 알게 되고, 무엇보다 저자의 재기발랄함이랄까 즐거운 꿈꾸기를 응원하는 마음이 되었다. 어디서나 꿈꾸고 있을 저자를 그리다보면 나도 꿈꾸는 것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겠다 흐뭇한 미소가 떠오른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