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만 모르는 엔딩 사계절 1318 문고 116
최영희 지음 / 사계절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푸훕, 지나가는 중학생의 삼선슬리퍼를 보고 혼자서 킥킥거리고 말았다. 소설 <최후의 임설미> 때문이다. 지구를 지켜준 임설미가 고맙다. 무슨 얘기냐고? 소설을 읽으면 안다. 삼선슬리퍼가 왜 웃기고, 임설미가 왜 고마운지…….

 

최영희 작가의 SF단편소설집 너만 모르는 엔딩을 읽었다. 유쾌하게 웃다가 어떻게 될까 조마조마해하다가 휴, 안도하며 그리고 안타깝기도 하고 마음이 찡해지기도 하는 다섯 편의 이야기들이다.

 

청소년을 위한 소설이기에 주인공은 중,고등학생의 또래다. 대한민국의 중딩들은 지구의 비밀병기가 되고(기록되지 않은 이야기), 그들의 실내화 때문에 인류 멸종이 올 수도 있고(최후의 임설미), 완벽한 미래를 꿈꾸다가 우정 속에서 싹튼 사랑의 감정을 깨달아가기도 하고(너만 모르는 엔딩), 나약한 내면의 분노를 사이버웨어를 통해 표출하기도(그날의 비밀병기) 한다. 마지막 작품 <알파에게 가는 길>은 작가의 전작 <안녕, 베타>의 연작인 듯하다. 지속적으로 기억을 바꿔 생존해야하는 베타 미카의 이야기는 뭉클하다. 작가는 <안녕, 베타>로 제1회 한낙원과학소설상을 받았다고 한다.

 

청소년을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은 한결같이 따듯하다. "지독하게 자기중심적"인 중딩이지만 "매너없고 불친철한" 할아버지라도 납치되는 것을 못 본 체하지 않는다.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를 허물어버리는 유쾌한 발상도, 사이버웨어를 입고 악당을 물리치는 듯한 인상을 주는 이야기 역시 통쾌하다. 생존을 위해 살아왔지만, '나는 누구인가'를 찾아가는 베타의 이야기는 결코 허술하지 않다.

 

"중학생들은 외계 침략을 대비한 병기도 아니고, 나라의 미래도 아니다. 그들은 자기 삶을 살아갈 뿐이며, 그네들의 삶은 언제나 현재형이다. 이 문서를 읽는 당신이 그러하듯."(33)

 

SF소설이라는 틀을 갖고 불확실한 미래 그러나 상상이 가능한 어떤 시간, 어느 곳을 상상하고 있지만 지금 여기의 삶을 살고 있는 우리에게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은 이것이 아니었을까? "평생을 두고 외계인과 청소년을 쫓아다닐 생각"이라는 작가의 말에서 존재의 외로움이 뜨거움으로 체인지업하는 비밀병기가 느껴진다. 작가의 이전 작품들도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