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하는 뇌 - 순간의 선택을 결정하는 심리학의 12가지 비밀
하영원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무리 세월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진리를 다룬 책은 좋은 책이다. 그래서 인간의 다양한 면모를 다룬 고전들이 오래도록 사랑을 받는 모양이다. 이 책은 2012년 출간된 <의사결정의 심리학>의 개정판이다. 10년 만에 개정판을 냈지만 달라진 내용은 많지 않다. 인간의 심리를 다룬 심리학의 보편적인 진리가 많이 포함되서 그런게 아닐까한다.



저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교수들과 '인간의 판단과 의사결정'에 관한 공동 연구를 다수 진행하였다. 이런 인간의 행동적 의사결정이 마케팅과 광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 논문들은 해당 분야의 고전으로까지 인정받고 있다고 한다. 저자는 이 책에 저자의 그간의 연구 성과들 중 핵심적인 내용만을 골라 수록했다.



요즘 나의 관심 분야는 '무의식'이다. 이 책은 행동경제학 측면에서 우리의 생각보다 무의식이 먼저 결정한다고 말한다.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많은 행동을 한다. 말 그대로 인식하지 못한채 몸이 알아서 움직이는 것이다. 우리의 선택과정도 무의식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인간은 합리적인 동물이라고 불린다. 하지만 실제 의사결정 과정을 들여다보면 전혀 합리적이지 않는 행동들이 더 많아 보인다. 우리의 의사결정 과정에는 본능의 영향, 편향성의 영향이 지대하다. 저자는 인간의 오류 투성이인 결정을 어떻게 하면 합리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지에 대해 12가지로 다룬다.



우리는 하루에도 수많은 선택과 결정을 한다. 우리의 지금 상태는 과거에 우리가 한 선택과 결정의 결과물이다. 개인적인 결정이야 가치관에 따라 많이 달라지기도 하겠지만 기업들이 우리의 선택과 결정을 왜곡하기도 한다. 이런 왜곡의 과정은 심리학적 지식에 기반한다.



예를 들면 편의점에 들러 우유 1개를 사려고 한다. 그런데 2+1이라는 문구를 보면 반사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우유를 더 사게 된다. 분명히 우유 1개당 더 싸게 산 결정은 합리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필요하지 않은 물건을 산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 인간의 의사결정은 이런 오류에 쉽게 빠지게 된다.



인간의 합리성은 제한적이고, 휴리스틱으로 대표되는 인간의 직관적인 판단에 대해 소개한다. 그리고 인간이 가지는 보편적인 인지 편향에 대해 밝힌다. 우리가 과거의 경험에 따라 어떤 판단을 하는지, 감성 예측으로 인한 오류와 편향은 무엇인지, 그리고 확인의 편향을 보여주는 다양한 실험들을 통해 우리 판단의 오류와 진실을 알려준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한계와 비합리적인 부분들을 극복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이론들을 설명한다. 선택 맥락 효과, 프로스펙트 이론과 프레이밍 효과, 목표와 의사결정 등을 통해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해야하는지 고찰한다.



다양한 선택과 의사결정이 우리의 행복과 어떤 영향을 미칠까?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돕는 다양한 이론들을 공부하고 실천하면 행복한 결말로 이루어질까? 왜 사람들은 종종 더 많은 행복을 가져다줄 수 있는 결정들을 하지 않는걸까? 마지막 부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인간이 인간을 알아가는 것은 정말 어렵다. 내가 남을 이해하고, 심지어 내가 나를 이해하는 것조차도 버겁다. 이 책은 나를 이해하고, 남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오류들을 극복해야 하며, 의사결정이 최종적으로 우리의 행복으로 이끌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강조한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