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느 날 내가 죽었습니다 (반양장) ㅣ 반올림 1
이경혜 지음 / 바람의아이들 / 200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어느 날 내가 죽었습니다.
나는.. 언제부터 죽음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을까. 묘하게도 그런 질문이 떠올랐다. 시체놀이를 통해 세상을 다른 눈으로 바라보는 재준을 보고도, 그 재준의 죽음에 분노하고 슬퍼하고 답답해하고 허망해하다 결국 작별을 고했던 유미의 모습에서도 나는 중학교 시절의 나를 떠올리고 있었다.
청춘과 죽음이라는 단어가 질리지 않는다는 유미의 말처럼 그 시절의 나에게 죽음은 끝없는 호기심으로 다가왔다. 친구와 만날 때면 언제나 그런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기 위해 나름대로 고민을 해왔던 것 같다. 아마, 베르나르베르베르의 타나토노트를 접하게 되어 그런 영향이 더 강했는지도 모르겠다. 세상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탐구해 나간다는 것이 어떤 이야기보다 매력적으로 다가오던 때였다. 그 때문일까, 재준과 유미의 모습은 내게 너무 친근하게 다가왔다.
2학년 담임이 말한다. 귀를 뚫은 유미를 보고 너 같은 애가 크면 술집여자가 되는 거라고. 중학교 시절 성적으로만 학생의 모든 걸 평가하는 선생님을 만난 적이 있었다. 한 아이가 성적이 높다고 착각했다가 진실을 알고 나서 돌변해 버리는 그의 행동을 보며 기분 나빴던 기억이 아직도 남아있다. 그들은 과연 학생의 인격을 존중하는 사람들인가. 이런 일부 선생님들의 모습들 속에서 우리는 얼마나 상처받고 있는지 그들은 알까.
“현재의 학교 교육은 고양이고, 금붕어고, 뱀이고, 코끼리고 모두 모아다가 각자 잘 하는 걸 더 잘 하게 하는 게 아니라 그 모든 동물들을 똑같이 만들게 하는 교육이라고, 고양이더러 물속에서 헤엄도 치고, 똬리도 틀고, 코로 물도 뿜으라고 요구하는 교육이라고.” 우리는 현재의 교육제도에서 ‘나’를 잃어버린다. 우리가 기억해야 하는 것은 오로지 공부해서 좋은 대학에 붙어야 하는 ‘나’일 뿐이다. 재생산. 학생은 미래의 빈자리를 채울 인적자원이 아니다. 학생은 세상을 이해하고, 고민하여 다음을 창조해갈 미래 그 자체다.
유미는 재준의 죽음을 끝내 받아들인다. 작별한다. 그것은 어이없고 하찮은 것일 수도 있는 죽음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생성된다고 생각한다. 죽음의 밖에는 무엇이 있을까, 생의 끝은 어디에 있을까, 나와 다음 세계는 이어질까 수많은 물음들을 던져 놓고도 나는 아직 아무런 답을 찾지 못했다. 유미처럼 평생을 모를 수도 있다. 하지만 ‘네 죽음의 의미는 내가 너를 다시는 볼 수 없다는 뜻이지.’라는 말처럼 현재의 나는 그 물음들을 탈피해 그 자체를 받아들이고 있는지도 모른다.
한 소년의 죽음을 통해 썼다는 글을 읽으며 작가의 바람처럼 어이없이 사라져간 소년들이 글 속에 머물러 아기자기한 삶의 한 자락을 잠시나마 누리다 같다고 생각한다. 이곳이 아니라도 언제나 ‘존재’하고 있을 수많은 재준들에게 미소를 보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