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터슈탐,
앞으로 그의 이름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띠지의 문구는 항상 눈을 잡아끈다. '스타일리스트'라…
작가를 두고 여러 수식어를 봤지만, 독.보.적.스.타.일.리.스.트 라는 띠지의 문구가 무척 인상적이었고, 흥미로웠다.
그래서 책을 들었다. <아그네스>
왜, 그를 두고
스위스 문단의 독보적인 스타일리스트라고 부르는지,
그의 데뷔작 <아그네스>를 읽으며 감 잡았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9156135612713.jpg)
“나에 대한 소설을 써.” 그녀가 말했다. “당신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게.”
“어떤 이야기가 나오게 될지 나도 몰라.” 내가 말했다. “나는 이야기를 전혀 제어할 수 없어. 어쩌면 우리 둘 다 실망하게 될 거야.”
_<아그네스> p63
발상도 놀랍고, 그 용기가 대단하다.
나에 대한 소설, 연인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분명 궁금은 하겠지만 나라면 정말 생각하지 못했을 것 같다.
특히, 아래의 부분을 읽을 때는 정말 궁금했다. 그 느낌이 어떨지…
공원을 갔다 오고 며칠 되지 않아 내 소설은 미래로 진입했다. 이제부터 아그네스는 내 피조물이었다. 새롭게 얻은 자유가 내 상상력에 날개를 달았다. 나는 아버지가 딸의 장래를 설계하듯 그녀의 미래를 계획했다. (p79)
나는 분명 내 생각을 통제하고 있었지만 그것은 꿈이 아니었다. 생각하는 모든 것이 곧바로 현실이 되었다. 마치 절대로 떠날 수 없는 골짜기를 걷는 기분이었다. 거기서 벗어나려고 하면 저항 같은 것이 느껴졌다. 이를테면 어떤 불가항력이 존재해서 내가 잘못된 방향으로 갈 때마다 용수철로 잡아당기는 것 같았다. (p103)
“행복은 점으로 그리고 불행은 선으로 그리는 거야.” 그녀가 말했다.
“당신이 우리의 행복을 묘사하고 싶다면 쇠라처럼 무수히 많은 작은 점들로 그려야 해.
그리고 그 행복은 거리를 두어야만 볼 수 있을 거야.”
<아그네스> p89
그리고, 인상적인 엔딩.
(엔딩 한 장을 두고 나는 3시간, 참았다. 왠지 아껴 읽고 싶었다)
나는 불을 끈다. 그리고 국립공원에 하이킹 갔을 때 아그네스가 찍은 비디오를 본다.
운전하는 내 모습, 돌아오는 길에 운전하는 나를 뒷좌석에서 찍은 장면이다. 와이퍼, 이따금 우리 앞에서 가고 있는 자동차, 내 뒤통수, 운전대를 잡은 내 손. 마침내 나는 아그네스가 나를 찍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린 것 같다. 내가 미소를 머금고 고개를 돌린다. 하지만 내가 완전히 돌아보기 전에 화면은 끊긴다.
<아그네스> p203
읽고 싶고,
읽어야 할 책들이 많지만,
나는 곧장 <희미한 풍경>을 들었다. 또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지…
페터 슈탐
그를 좀 더 선명하게 기억하고 싶다.
ps. <아그네스>에 나오는 주인공 남자,
좀 나빴다. 음… 나쁜남자
![](http://image.aladin.co.kr/product/717/72/cover150/895461137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726/95/cover150/8954611389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