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득이
김려령 지음 / 창비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주먹을 꼭 쥔 <완득이>를 펼쳐들었다. 친숙한 이름하며, 만화 같은 표지하며, 눈을 잡아끄는 ‘제 1회 창비 청소년 문학상 수상작’ <완득이>. 이는 주말 나와 함께 하기 충분한 매력이 있었다.

읽기 전, 유명세다운 ‘청소년 문학’과 ‘성장소설’의 키워드를 잡고 읽어 내려갔다. 그러나 ‘어른스러운’ 키워드는 이내 잊어버렸다. 껄렁껄렁한 담임 똥주 이야기, 심드렁한 완득이, 똘아이 혁주 등 <완득이>의 주인공을 만나고 바로 무장해제(?) 되어버린 거다.

소설의 매력이라고 하면 똥준데, 꼭 <공중그네>,<인더풀>에 나오는 이라부 의사를 닮았다. 그의 유머러스함도 그렇고 엽기 언행도 그러하다.

"새끼들, 이게 웬 미친 학습모드야“(120p)

(정말 이런 선생님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싶었다. 시종일간 이렇게 껄렁함을 유지하기도 쉽지 않을텐데...^^) 그렇다고 똥주가 마냥 껄렁한 것도 아니다. 교회를 가장한 외국인노동자를 위한 쉼터를 마련해주는가 하면, 외국인노동자에게 홀대하는 자신의 아버지에게 훈수도 둔다. 속 깊은 똥주이기에 완득이도 죽여 달라고 애교 기도 하다 그것도 하다 만다.

고1, 열혈청년 완득이의 매력도 또 배제할 수 없다.

“우리는 가만히 있는데 이 미친 세상이 왜 자꾸 건드리는지 알 수가 없었다" (34p)

“새도우 복싱, 그래도 한다. 정윤하가 버스 뒷자리에서 보고 있으니까.”(168p)

세상을 향해 어퍼컷을 날릴 것 같은 완득이 표지도 사실 어른들의 오해다. 그냥 내가 T.K.O 패배를 당한만큼만, 딱 그만큼만 이겨서 스승에게 내려가고픈 완득이다. 무뚝뚝한 듯 하지만 곰살궂은 구석이 있다. ‘녀석...’

<완득이>에서는 정신지체장애를 가진 삼촌 민구, 난쟁이 아빠, 가난한 나라 베트남에서 부자나라 가난한 아빠한테 시집온 엄마, ‘ㅋ’이 달아난 ‘복싱’ 관장, 종군기자가 꿈인 윤하...이렇게 서로 다른 사람들이 ‘서로를 인정하며’(201p) 어울리며 산다. 어렵지 않게, 너무 심각하지 않게, 또한 폼 잡지 않고 풀어간 사회 ‘저쪽’이야기를 보며 웃다, 와 닿다, 생각하다, 측은해지기도 했다. 굳이 청소년 문학, 성장소설이 <완득이>의 매력을 가둘까봐 걱정스럽다. 고1 완득이가 고2가 되는 사이의 일기를 편안하게 훔쳐보는 건 어떨까.


*더하기. 

소설을 보면서 한편의 TV 드라마를 보고 있는 듯 했다. 인물 캐릭터, 대사의 재미요소와 사는 이야기, 고질적인 우리네 사회 이야기를 엿볼 수 있었다. 곧, 드라마나 영화가 되는 거 아닐까?

소설을 보면서 한편의 TV 드라마를 보고 있는 듯 했다. 인물 캐릭터, 대사의 재미요소와 사는 이야기, 고질적인 우리네 사회 이야기를 엿볼 수 있었다. 곧, 드라마나 영화가 되는 거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