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으로 산다는 것 - 플러스 에디션
김혜남 지음 / 걷는나무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어른으로 산다는 것은 정말 힘든 일인것 같다. 어른이라서 이것저것 생각해야 할 일들이 많이 있다. 그런데 왜 어릴때에는 어른이 되고 싶었을까? 아마도 어른들의 모습들이 그냥 그때에는 좋게만 보여서 그런지 어린시절에는 항상 어른들을 부럽게만 생각했던 것 같다. 자유를 누릴수 있을거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런데 내가 지금 막상 어른이 되는데, 왜 지금은 어른이라는 것이 부담스럽게 느껴 지는걸까? 그리고 어른이라서 책임져야 하는것들도 너무 많이 있는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의 제목을 보고 나 또한 내가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이 책의 그림도 너무 재미있게 느껴졌다. 어른 남자가 회전목마에서 볼수 있는 말을 타고 있지 않는가? 너무 안 어울리는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이 책이 끌리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어릴때를 생각하면 마음속에 상처 하나씩 가지고 있지 않는가? 대부분의 어른들이 다 그냥 그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것 같다. 그래서 나 또한 그냥 다 그렇게 살고 있으니깐 그렇게 사는게 맞는거라고 생각하고 살아왔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어릴때의 상처를 가지고 있으면서 어른이 되면 아무래도 남들은 모르겠지만 나 자신은 하기 싫은 것도 해야 하는 것도 싫겠고, 모든 상황에서 안 좋게 생각하기 마련인것 같다. 이 책에서 등장하는 많은 사람들은 자기의 상처로 인해서 마음의 문을 닫아서 세상에는 재미있는 일들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그리고 또한 왜 세상사람들은 다 내마음 같지 않는지 모르겠다고 이야기 하는 사람도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나 또한 세상에 정말 많이 두렵게 느껴질때가 많이 있다. 어릴때 상처를 무의식 중에서도 나도 모르는 상황에서 상처를 받아 기억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상처로 인해서 사랑하는 것도 사랑받는것도 주변의 사람들과 대인관계도 힘들때가 있었던 것 같다. 지금은 이런 마음의 상처가 나의 아이들에게는 없었으면 좋겠는데, 무의식중에 생기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그래서 그런지 이 책을 읽으면서 나 또한 상처를 치료해야 하지만, 아이들에게 어릴때에 상처를 주고 싶지 않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최선을 다해야 하지만 막상 어떻게 아이들에게 신경을 써주어야 할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 나의 생각과 아이들의 생각과는 많이 틀린것 같다. 정말 심리라는 것이 많이 복잡하고 나의 마음을 아는것 또한 나의 자신을 아는것도 힘든것 같다. 상처를 치유해야지만 앞으로의 삶이 더 행복해 지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그리고 또한 심리 상담가를 만나서 심리치료를 받는것도 좋지만, 그런 상황이 안될때에는 요즘 심리 책들도 많이 있다. 이런 책을 통해서 나 자신을 되돌아 보고 마음의 상처가 있다면 치유하는것도 하나의 좋은 방법인것 같다. 나 또한 심리 책을 통해서 나 자신을 다시 되돌아보고 마음의 상처가 있다면 그 상담가의 상담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들을 읽으면서 치유하려고 노력한다.

 

마음의 상처가 많은 사람들을 병들게 만든다. 언제 그 상처가 있었는지에 따라 중요한것 같다. 아이때에 있었던 상처이면 아무래도 어른이 될떄까지도 가지고 생활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그래서 그런지 아이들에게 마음의 상처를 최소한 줄이기 위해서는 아이들과 많은 대화를 하는것도 좋을것 같다. 나 또한 아이들과 많은 대화를 하지 못하는데, 앞으로 아이들과 많은 대화를 할수 있게 시간과 노력을 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