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마디를 이기는 한마디
장원철 지음 / 카르페디엠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백마디를 이기는 한마디라는 책의 제목이 나에게 정말 필요한 책인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항상 주변사람에게 어떤 말을 어떻게 표현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음은 안그러면서 왜 말 표현은 마음처럼 되지 않는걸까? 항상 되돌아 보면 후회하고 그렇게 하지 말아야지 하면서도 잘 지켜지지 않는다. 그래서 항상 후회하면서도 또 똑같은 방법대로 하고 있고 정말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내주변 사람에게 특별히 신경쓰지 않는것 같다는 생각이 더 들었다. 주변사람 특히 가족들과의 대화는 별로 신경쓰지 않으면서 예절을 지키고 예의를 지켜야 하는 사람에게 더 신경을 써주고 했던 것 같다. 그래서 말표현도 어떻게 하면 도움이 될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잘 표현해서 사람들과 대인관계를 잘 할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했던 것 같다. 항상 우리 식구보다는 남들을 먼저 생각했던 것 같아서 너무 내가 남을 의식하면서 살지 않았는가 다시 한번 되돌아 보는 시간이였다. 항상 남이 먼저가 아니 나의 가족, 친척 그리고 주변에 정말 자주 보면서도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먼저 인것 같다. 이 책에서도 남과의 관계보다는 주변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들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것으로 쓰여진 책인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내가 잘 알고 지내는 사람에게 더욱더 잘 할수 있는 하나의 도움이 될수 있는 책인것 같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한마디로 인해서 더 잘할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그리고 또한 나의 단점을 찾아서 고쳐서 장점으로 만들어 봐야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사랑하는 사람에게 아무런 생각없이 이야기 하는것도 많은 도움이 될수 없는것 같다. 특히 속상한 일이나 안좋은 일에 대해서 이야기 할떄는 더욱더 그런것 같다. 나 또한 직설적으로 이야기 하는 편이라서 그런지 많은 사람들에게 안좋게 보였던 것 같다. 지금 생각해 보면...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도 너무 직설적으로 나의 생각을 이야기 하지 않았는지 다시 한번 되돌아 보게 된다. 지금은 많이 바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 책을 내용을 읽으면서 아직도 간접적인 이야기의 방법보다는 남의 배려하지 않고 가까운 사람이라고 생각해서 아무렇지 않게 이야기 하는 편인것 같다. 듣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그리고 이야기 하는 입장에서도 고려해서 이야기를 전달하는 것도 중요한것 같다. 내가 어떤 식으로 이야기 하는지에 따라 농담으로 비아냥거림으로 받을수 있을것 같다. 상대방이 나에게 좋은 말을 하게 되면 나 또한 상대방에게 좋은 말을 하게 되는것처럼 아마도 이런 것들과 비슷한 이치에 있는 것 같다. 좋지 않는 말도 싫은 말도 내가 농담으로 이야기 하면 상대방에서도 농담으로 받아들이지만 내가 비아냥거림으로 이야기 하면 비아냥거림으로 받아서 되돌아 온다. 그런데 실제 상황에서는 간접적인 방법을 알면서도 잘 사용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그런지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해야 하면서도 나도 모르게 그냥 이야기 하는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나 전달법이라는 것이 있다고 한다. 우리는 대부분 너의 주어로 사용해서 감정을 전달하게 되는데, 너가 주어가 되는것이 아니고 나를 주어로 해서 이야기 하면 더 좋을것 같다는 이야기 있다. 나 전달법의 요령은 상대의 행동을 객과적으로 이야기 하고(당신이 자기 위주로만 하니까) 그 떄문에 받게 되는 느낌을 이야기 하고(나를 무시하는 것 같아서) 자신의 감정을 말하는 것(기분이 나빠)이다. 이렇게 이야기 하면 나도 쉽게 할수 있을것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앞으로 나 또한 직설적인 방법보다는 나 전달법을 한번 사용해봐야겠다. 그래서 주변에 내가 잘 알고 있는 사람과의 관계가 더욱더 잘 형성되었으면 좋겠다. 내가 잘 못하는 부분들이 많이 있다. 한번에 다 고쳐서 하기에는 너무 많이 있다. 그래서 처음부터 다 고쳐 나가는 것보다는 욕심을 버리고 하나씩 찾아서 고쳐 나가는 것도 중요한것 같다. 사람이 갑자기 변화면 주변 사람들도 이상하게 보기도 하고 이상하게 생각하게 된다. 아마도 흔히 이야기하는 죽을때가 다 되냐 라고 이야기 할지 모르겠다. 그리고 너무 많이 변해도 주변 사람들이 적응하지 못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