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여자
기욤 뮈소 지음, 전미연 옮김 / 밝은세상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번 책은 사랑에 관한 이야기도 있지만 아마도 책을 쓰는 작자들과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하나의 호흡이라고 해야 하나 이런 것들도 같이 나와서 그런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볼수 있는 책인것 같다. 기욤뮈소의 책이라고 하면 항상 사랑에 관한 책으로 생각했던 것 같다. 그래서 솔직히 많이 실망을 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나중에 다 읽고 느낀점이 있다면 다른 책과 다른 점이 있다는 사실이 너무 느껴졌다. 항상 책이라고 하면 작가의 힘으로 인해서 쓰여지는 것이라고 생각을 했지 독서를 좋아하는 사람들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아마도 작가들도 있고 책을 사랑해 주는 독자들도 있기 때문에 책이 계속해서 꾸준히 나오고 있는 것은 아닌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볼수 있었다.
 
항상 기욤뮈소의 책이라고 하면 사랑의 관한 어떤 이야기가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책의 첫장을 넘기면서 어떤 반전이 기다리고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읽으면서 중간쯤까지는 많이 실망을 한것도 있다. 그런데 마지막까지 읽으면서 아마 기욤뮈소 작가 이야기 하고 싶은것은 독자와 작가의 호흡을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은 아닌지 다시 한번 책의 내용보다는 기욤뮈소의 마음을 다시 한번 읽어보는것 같다는 표현을 해도 좋을 만큼 색다른 책의 내용인것 같다. 나의 입장에서 이 책은 쓰여져 있다. 그래서 처음에는 그냥 편하게 읽을수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작가도 사람이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것 같다. 톰이 주인공으로써 사랑하는 사람이 대중에게 많이 유명한 피아니스트이고 또한 이 사람들이 사귀는 내용이 신문에 나올 정도로 많이 대중에게 유명해져 있다. 그리고 또한 톰은 어린시절 안좋은 곳에서 자라서 그런지 나쁜 것들을 많이 보고 자라왔던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피아니스트의 여자와 헤어지게 된다. 아마도 유명인사 라서 그런지 결혼가치관이 많이 다른 사람과 틀린것도 하나의 이유인것 같다. 헤어지면서 톰은 작가의 일을 안하고 폐인이 되어서 생활하게 된다. 그러면서 자기의 소설의 주인공 같지 않는 사람이 갑자기 나타나게 되고 그 사람과 다시 계약을 하게 되어서 어쩔수 없이 그 사람의 약속과 그 사람을 살릴수 있다는 명분에 다시 소설을 쓰게 된다. 사랑을 실패를 하게 되면 많은 사람들이 패배자처럼 지내는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많은 상처를 받는 것도 사실이다. 사랑에 관한 상처가 없는 사람도 없는데 폐인이 되었다고 이해가 안된다는 말보다는 어느정도 이해가 되면서도 마음이 아팠다. 그러면서 소설 주인공이 나타나서 다시 일어나게 되고 이러면서 다시 펜을 잡게 되는 것도 볼수 있다. 조금만한 작은 반전도 같이 있어서 더욱더 재미있게 읽을수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또한 글을 쓰는 일은 작가가 할수 있이라고 생각 사람에게는 많은 도움이 될수 있는 것 같다.
 
또다른 맛을 볼수 있는 책인것 같다. 그리고 또한 기욤뮈소 책의 소설은 아마도 기대해도 좋을것 같다는 생각을 다시 한번 하면서 다른 책이 빨리 나와서 또 다른 책의 소설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다. 너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