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부자 - 인생을 두배로 사는 사람들
박성길.이완 지음 / 분필"느낌나누기"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요즘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따라 내가 잘 살수 있다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된다. 하지만 시간을 그렇다고 잘 사용하지 않는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그런지 항상 고민에 빠져 있었다. 어떻게 하면 시간을 잘 사용할수 있을까? 다른 사람들도 나랑 똑같은 24시간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잘 사용하고 시간은 금이라고 하는데 왜 난 낭비하면 사용하는 시간들이 많이 있는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때가 많이 있었다. 그래서 그런지 나또한 이 책을 통해서 시간부자들의 공통점들을 배워서 나 또한 시간을 잘 사용할수 있는 시간부자가 되고 싶었다. 그냥 흘러가는 시간들이 너무 많이 아깝다. 그런데도 머리로는 생각하면서 실천을 하지 못하고 있으니 얼마나 답답한 현실이 아닐수가 없다. 시간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점이 있을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너무 시간을 허비하면 낭비만 하고 살면 나의 미래에는 어떤 삶을 살게 될까 라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더욱더 두렵고 무섭기 까지 한다. 시간을 정말 금처럼 사용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시간부자 과연 어떤 사람들의 이야기 일까 라는 궁금증이 일어났다. 처음 시간에 대해서 논쟁하는 장이 첫장이다. 처음에는 많이 놀랬다. 나는 그냥 시간이 주어지기 때문에 잘 사용하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던 것 같다. 하지만 나의 생각자체가 틀렸다는 생각이 든다. 이 대화는 교수와 청년의 생각을 적은 내용이다. 이 내용을 읽으면 읽을수록 내가 생각했던 시간이 너무 잘못 생각하고 있었던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항상 시간을 잘 사용해야지 라고만 생각했지 구체적으로 생각하면서 살아오지 않았던 것 같다. 그리고 또한 사람마다 자기의 입장이 그리고 현실에 있는 상황이 틀려서 그런지 생각자체가 틀린점이 많이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런지 나 또한 답답했던 현실이 조금씩 상대방의 이야기를 읽어봐서 그런지 조금씩은 이해가 가는 점도 있었다. 그래서 나만이 아닌 우리 모두가 자기의 입장에서 시간이라는 단어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볼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간관리는 인생의 관리이다. 라는 단어를 보고 약간 움쭐했다. 많은 사람들은 시간 약속의 있어서 지키려고 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시간 약속의 잘 지키지 않는 사람이 있는 것 같다. 시간을 하나의 중요한 기준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아마도 사업을 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첫인상이자 인생의 좌우가 될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예을 들어서 이 책을 이야기 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에 흔히 있는 이야기 중에 하나인것 같다. 항상 습관적으로 시간을 항상 늦는 사람에게는 과연 좋게 보이지 않을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것 또한 내가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따라 틀려지는것 같다. 아마도 이 책에 있는 내용이 다 맞다는 생각이 들정도이다. 항상 시간이 없다. 라는 말을 하고 사는 사람들이 주변에 있다. 하지만 틈틈히 조금씩 한다고 하면 가능할 일들이 많이 있는것도 사실이다. 나 또한 조금만 더 조금 있다가 하자 라는 생각을 하기 때문에 피곤하다고 졸립다고 하는 핑계를 대고 하지 않는 일들이 솔직히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조금씩 시간의 계념을 가지고 계획성을 가지고 생활한다면 시간을 중요하게 사용할수 있을것 같다. 요즘 많은 사람들이 바쁜 가운데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중요한 사실을 빼먹고 있는것 같다. 이 시간중에 가장먼저 해야 할일과 나중에 해야 할일을 생각하고 결정을 하는것도 중요한 사실 중에 하나인것 같다. 그만큼 시간의 관리가 중요한것 같다. 시간을 값있게 쓰면 시간이 없어서 하지 못했네 라는 말을 하지 않을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 바쁘게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이야기 하고 있다. 정말 내가 시간을 잘 관리해서 시간부자로 살아가고 있는지 다시 한번 되돌아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책도 두껍지 않게 때문에 시간을 잘 관리하고 싶은 사람은 이 책을 한번 읽어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