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선택
로즈 브래디 지음, 김영진 옮김 / 자작나무(송학) / 200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러시아의 자본주의로의 이행과정

세계 최초로 사회주의 혁명을 이룩한 러시아는 한때는 미국과 함께 세계를 양분했던 강국이었다. 그러나 결국 러시아주도의 소련권의 패배로 냉전이 막을 내린후 소련 연방은 해체되었고, 러시아는 자본주의로 방향을 선회하지 않을 수 없었다.

당시는 사회주의에서 빠져나온 전세계가 혼돈을 겪고 있을 시기였다. 중국은 사회주의를 고집하면서 조심스레 시장경제를 접목하고 있었고, 동유럽 국가들은 너나 없이 자본주의를 급속히 받아들이고 있었다. 러시아의 선택은 조심스러웠지만, 개혁과 개방을 채택한 이후 러시아의 해채 속도는 급속히 빨라졌다.

결국 러시아는 통제불능의 상태에 빠졌고, 러시아 마피아와 부패한 관료와 결탁한 관변 자본이 급속히 성장했다. 진정한 시장경제가 아니었기에 효율은 낮았다. 그들은 시장경제를 경험해본 역사가 없지 않았는가! 효율이 낮은 것은 필연적인 결과였다.

엄청난 부존자원에도 불구하고 허약할대로 허약해진 러시아 경제는 결국 파산의 위기를 맞게 되었다. 외환위기. 그리고 강대국의 자손심에 커다란 손상을 입었다. 러시아는 아픔 속에서 수술을 받았고, 허약한 병자가 되었지만 서서히 시장을 배워가고 있었다.

이제 러시아는 다시 강해지기 시작했다. 아직 예전과는 비교할 수도 없는 수준이지만, 확실히 성장추세를 이어가기 시작하고 있는 것을 틀림없다. 부패한 자본은 된서리를 맞고, 나름대로의 질서를 찾아가고 있는 중인 것이다. 때마침 닥친 고유가는 러시아 경제에 날개를 달아주었다.

이 책은 그런 소련해체 이후의 러시아 경제가 걸러온 길을 조망한다. 그럼으로써 우리가 현대의 러시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풍부한 정보로 좋은 조언을 해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