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프리카 미술 : 미완의 미학
정해광 지음 / 꼬마심포니(다빈치기프트) / 2006년 7월
평점 :
절판
미완의 미학으로 성립한 미술
아프리카의 미술을 미완의 미학이라고 정의한다. 왜? 아프리카의 미술이 그 종족적 열등감 때문에 낮은 단게에서 발전이 정지해 있기 때문에? 아니다.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바로 이제까지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프리카 미술을 바라보던 관점이었다. 그러나 그 관점은 틀렸다.
아프리카 미술에서 많은 영감을 받아 자신들의 작품에 아프리카적인 요소를 차용했다는 것을 인정하는 피카소도 아프리카에서 사물을 바라보는 관점이나 모티브만 차용해 왔을 뿐이다. 그들은 아프리카 미술에 깃들어 있는 진정한 것, 즉 세상과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을 놓친 것이다. 아프리카 미술을 바라보는 다른 많은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저자는 아프리카 미술을 이해하는 키워드는 바로 인간이라고 말한다. 사람들이 아프리카 미술에서 그 의미를 읽지 못하는 것은 사람들이 아프리카적인 방식으로 생각해보려고 노력하지 않기 때문이다. 아프리카의 예술은 거창하거나 화려하지가 않다. 그것은 예술적인 미감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그들이 생각하는 관점이 인간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서구적인 사고방식처럼 고도의 장인정신으로 세련미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삶의 모습이 잘 우러나는 것이 진정한 미의식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에는 대규모 건조물이란 것이 없다. 대규모의 건축이 없다는 것이 문화적 수준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까? 그것은 서구적 사고의 편견일 뿐이라고 저자는 주장한다. 자신들과 닮지 않은 것은 미개한 것이라고 아프리카를 타자화시킨 결과일뿐이라는 것이다. 아프리카인은 인간의 관점에서 세상을 본다. 그것은 아프리카의 여러가지 전승이나 문학작품에서 잘 드러난다. 그러기에 소박한 작품들에서 인간을 위주로 한 미술이 주로 나타나는 것이다. 진정한 아프리카를 발견하려면 눈높이를 아프리카에 맞추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