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미술 : 미완의 미학
정해광 지음 / 꼬마심포니(다빈치기프트) / 2006년 7월
평점 :
절판


미완의 미학으로 성립한 미술

아프리카의 미술을 미완의 미학이라고 정의한다. 왜? 아프리카의 미술이 그 종족적 열등감 때문에 낮은 단게에서 발전이 정지해 있기 때문에? 아니다.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바로 이제까지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프리카 미술을 바라보던 관점이었다. 그러나 그 관점은 틀렸다.

아프리카 미술에서 많은 영감을 받아 자신들의 작품에 아프리카적인 요소를 차용했다는 것을 인정하는 피카소도 아프리카에서 사물을 바라보는 관점이나 모티브만 차용해 왔을 뿐이다. 그들은 아프리카 미술에 깃들어 있는 진정한 것, 즉 세상과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을 놓친 것이다. 아프리카 미술을 바라보는 다른 많은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저자는 아프리카 미술을 이해하는 키워드는 바로 인간이라고 말한다. 사람들이 아프리카 미술에서 그 의미를 읽지 못하는 것은 사람들이 아프리카적인 방식으로 생각해보려고 노력하지 않기 때문이다. 아프리카의 예술은 거창하거나 화려하지가 않다. 그것은 예술적인 미감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그들이 생각하는 관점이 인간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서구적인 사고방식처럼 고도의 장인정신으로 세련미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삶의 모습이 잘 우러나는 것이 진정한 미의식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에는 대규모 건조물이란 것이 없다. 대규모의 건축이 없다는 것이 문화적 수준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까? 그것은 서구적 사고의 편견일 뿐이라고 저자는 주장한다. 자신들과 닮지 않은 것은 미개한 것이라고 아프리카를 타자화시킨 결과일뿐이라는 것이다. 아프리카인은 인간의 관점에서 세상을 본다. 그것은 아프리카의 여러가지 전승이나 문학작품에서 잘 드러난다. 그러기에 소박한 작품들에서 인간을 위주로 한 미술이 주로 나타나는 것이다. 진정한 아프리카를 발견하려면 눈높이를 아프리카에 맞추어야 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fricarho 2013-04-28 15: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아프리카 미술에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갤러리통큰에서 두츠전을 현재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미술을 사랑하시는 여러분의
많은 성원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두츠_아빠의 그림일기展 (갤러리 통큰)

#제목 : 두츠, 아빠의 그림일기展
#기간 : 2013.4.24(WED) - 5.28(TUE)   
#장소 : 갤러리 통큰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74번지 2층)
#문의 : 732-3848 (담당자: 큐레이터 김나영)
 
유난히 큰 자동차가 눈에 띈다. 예전에는 볼 수 없었던 크기이다.
이는 두츠가 자동차를 마련했다는 경제적 안정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에게 있어서 자동차는 아이와 함께하고픈 시간의 크기와도 같다.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의 표현인 것이다. 이렇듯 이번 전시는 부성이 어떤 것인가를 보여줄 것이다.
그리고 동심을 특유의 서정성으로 표현한 것도 주목할만한 일이다.
2013년 두츠는 프랑스 국적으로 바뀌면서 많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작가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물고기의 등장으로 연결시켰다.
그의 성(姓)인 Ndoye는 아프리카어로 물고기란 뜻이다.
결국 이것은 자신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려는 의지의 표현이다.
불혹의 나이에 접어든 두츠, ‘어떤’ 확장된 모습으로, 또 ‘다른’ 그의 이야기가 시작될지 궁금해진다...

#동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JPmRUrXHf5U&feature=player_detailpage

**따스한 봄기운을 품은 이번 두츠전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www.africarh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