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사불명 야샤르
아지즈 네신 지음, 이난아 옮김 / 푸른숲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구수한 입담으로 풀어낸 삶의 부조리

'욜'이란 영화를 본 기억이 난다. 10여년전이었다.  우리사회에 밀어닥친 개방의 물결을 따라 처음 상륙한 외국영화중 하나였다. '욜'이 터키를 대상으로 한 정치색이 강한 영화였다면, 이 책은 구수한 입담으로 천일야화를 연상케하는 현대판 부조리극을 보는듯하다.

생사불명 야사르라는 야릇한 재목은 바로 이야기꾼인 '야사르'의 야릇한 존재감을 극단적으로 보여주는 상징적인 조치이기도 하다. 그는 공식적으로는 '살아있지 않은 존재'이다. 그러나 그는 현실세계에서는 버젓이 살아있다. 단지 서류상으로 살아있지 않다.

그래서 오는 부조리함은 그는 살아있는 사람이 감당해야 하는 모든 불이익은 받으면서, 죽은 사람이기에 받을수 없는 모든 혜택은 받지 못한다. 그는 심지어 부친의 유산을 물려받지도 못한다. 죽은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죽은 존재인 그는 감옥에 버젓이 갖혀 있는 살아있는 존재이기도 하다.

그러한 상징적 존재의 입을 통해 터키의 모든 사회상이 풍자되고 난자질 당하고, 다시 웃음으로 제자리로 돌라간다. 그의 감방동료들은 훌륭한 추임새꾼이다. 야사르의 이야기를 풀어놓는 이야기 난장을 트는데 좋은 배경이 된다. 그들은 청중이면서 동시에 화자이기도 한 우리나라 식의 이야기 구조에 동참한다.

야사르가 말하는 세상의 부조리함은 단지 터키에 한정되는 것만이 아니다. 그 존재와 사회의 불일치라는 부조리함은 인류가 공통으로 마주치는 아픔이다. 그 아픔을 야사르란 존재를 통해 아픔이 아니라 해학으로 표현하는 것이 바로 작가의 재능이다. 천일야화를 듣는 재미로 왕비를 죽이지 못하는 왕처럼, 다음 이야기를 읽는 재미로 이 책이 두터운 것을 모르고 읽을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