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개골의 서
로버트 실버버그 지음, 최내현 옮김 / 북스피어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영생이 있을까. 혹 그것이 만약 있다면...
책은 그렇게 시작한다. 앞길이 창창한 네 사람의 젊은 대학생들. 그들이 모였다. 영생이라는 뚱딴지 같은 것을 화두로 하여. 처음 영생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어떤 사람은 학문적인 호기심에서. 또 어떤 사람은 삶의 권태를 이기기 위해서. 그리고 어떤 이는 친구의 웃기는 모험을 비웃기 위해서... 그렇게 그들은 각자 다른 이유로 영생을 찾을 수 있다는 곳으로 여행을 떠난다.
책의 화법은 아주 독특하다. 줄거리는 번갈아 가며 등장하는 여행에 참여하는 네 사람의 내면적인 시각에 의해서만 쓰여진다. 전지적 외부자에 의한 스토리에 대한 개입은 전혀 없다. 오로지 여행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내면적 독백에 의해서만 이야기가 진행된다. 그런데 자칫 지루할 것 같은 이러한 화법이 놀랍도록 흥미진지하다.
영생이라는 흥미로운 주제때문이 아니다.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작가의 놀랍도록 대단한 글재간때문이다. 그가 글을 이끌어가는 솜씨는 재간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사실 무리가 있다. 놀랍도록 정확하고 세밀한 심리묘사의 능력이 고전에서 읽는 대가들의 그것과 차이가 없을 정도로 수준이 높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전혀 지루하지가 않다!
그래서 책은 SF라거나 판타지라는 장르문학의 범위를 훌쩍 뛰어넘어 버린다. 이 책이 다루는 소재의 특수성을 떠나서, 이 책이 가지는 주된 힘은 인간의 심리에 대한 묘사가 차지하기 때문이다. 정말 사람의 심리에 천착하는 저자의 인식수준과, 그 인식을 재료로 재미있게 이야기를 전개해나가는 솜씨는 대단하지 않을 수 없다.
책이 진행되면서. 그리고 영생을 위해서 치루어야 하는 과정들이 진행되면서 내면적 진실에 대한 탐구는 점점 그 깊이를 더해 간다. 그리고 엄청난 반전이 따른다. 그 반전은 미스테리 소설에서 나오는 줄거리의 반전과는 차원이 다르다. 강한 영혼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사람이 얼마나 약할 수 있는지, 약하고 허약해 보이는 영혼이 얼마나 강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치판단은 유보된 채 소설이 끝난다. 영혼의 강약과 영혼의 순도의 질과의 상관성에 대해서 깊은 회의를 남겨둔 채 책은 끝이난다. 그 여운... 그것이 바로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진짜 이야기가 아닐까. 책을 읽은 후에 남는 약간의 허전함. 그 카타르시스가 없는 허전함이야 말로 저자가 우리에게 던지는 진정한 감동의 반대가 아닐까...
독특한 형식의 책이 주는 메시지도 독특하다. 그토록 치열하게 인간의 내면에 대한 탐구를 하고도 마지막에 남기는 메시지가 없다는 점이. 찾을 수가 없다는 점이. 그것이 바로 저자가 남기는 선물이 아닐까. 영생이란 무엇일까. 그것은... 가치가 있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