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진핑 - 시골촌뜨기에서 권력의 정점에 서다
소마 마사루 지음, 이용빈 옮김, 김태호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내년에 중국의 지도부가 바뀐다고 한다. 중국의 권력 지도부는 집단지도체제의 형식을 가진다고 하지만, 역시 주석이자 군 통수권을 가지는 제 1인자의 위세가 대단할 수 밖에 없다. 장쯔민과 리펑이 주석과 총리를 나누어 가지며 서로 대립각을 세웠던 때에도 장쯔민의 위세가 압도적이었던 것을 기억할 수 있다. 당시에는 호각을 다투었던 두사람이지만 장쯔민은 지금까지도 파워를 행사하지만, 리펑 전 총리는 그 이름을 기억하는 사람조차도 별로 없을 정도가 아닌가.
궁금했던 것은 바로 그런 차기지도자가 어떻게 정해지는가에 대한 과정이었다. 중국은 세계1위의 무역대국인 오늘날까지도 그 내부의 작동에 대한 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나라이다. 그렇기에 경제성장률같이 겉으로 드러나는 중국의 모습이 아니라, 수치로 드러나지 않는 인적 요소에 대한 정보가 무척이나 귀중한 나라이다. 특히 중국은 제도보다는 인적요소가 중요한 사항을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나라라고 하지 않는가.
그러나 중국권력과 언론의 속성상 중국 내부의 모습은 그들이 보여주는 것만 알수가 있다. 내년 중국의 지도자가 될 것이 거의 확실한 시진핑의 첫째부인조차도 그 이름과 현재의 거취조차 알려져 있지 않고, 심지어 그 결혼과 이혼의 시기에 관해서 조차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을 정도가 아닌가. 그런실정이기에 이 책에 실린 그들 내부의 권력구조 결정 과정과, 그 과정에서 한사람의 중요한 정치인이 성장하고 권력을 장악하게 되는 과정이 무척 흥미롭기도 하고 중국을 이해하는데 더없이 중요한 자료가 되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젋은 차기 지도자라고 하지만 시진핑이 지금의 나이에 이르기까지 중국 사회에 걸어온 다난한 세월동안 시진핑의 삶을 조명한 내용을 통해서, 중국이란 나라가 지금의 모습에 이르기까지 겪어야 했던 문화혁명 개방 그리고 권력투쟁등의 과정을 내부의 시각으로 조망할 수 있다는 점도 큰 매력이라고 하지 않을수가 없다.
어느날 등소평이 남순강화를 발표하자마자 중국이 바로 개방으로 달려간 것이 아니라, 그 과정에서 어떤 일들이 일어났었고, 시진핑을 그 일들에 어떻게 대처 하며 위험한 시기를 가로질러 성장에 성장을 거듭했는지. 그리고 그가 결국에 마지막 뒤집기를 통해 중국이란 거대한 나라의 차기 대권을 거머쥐게 되었는지에 관한 소중한 정보들이 담겨있다. 그 정보는 지금 그리고 향후 중국이란 거대한 나라를 움직여갈 실권자가 걸어온 길에 관한 것이기에 더욱 소중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