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싱크홀 - 도시를 삼키는 거대한 구멍
이재익 지음 / 황소북스 / 2011년 7월
평점 :
압구정 소년들을 통해 이재익 작가를 처음으로 접했었다. 방송국 음악프로 현역 PD라는 경력에 걸맞게 음악과 함께 어우러진 멋진 청춘의 잔혹사를 읽고 마음이 찡했었다. 작가의 이름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나에게 그렇게 이재익이라는 새로운 작가의 이름이 기억되었다.
자서전적 요소가 강한 압구정 소년을 읽고 얼마되지 않았는데, 뜻밖에 그는 단기간에 많은 작품을 내놓고 있었다. 싱크홀은 작년에 뉴스기사를 통해 알게된 특이한 자연현상과 이름이 같았다. 책의 표지 그림을 보아도 내가 뉴스를 통해 알게 된 그 싱크홀과 같은 내용을 소재로 한 것같았다. 그런 연유로 나는 이 책을 통해 두번째로 이재익 작가를 만나게 되었다.
그렇다. 소설을 읽는 것은 작가와 내면과 만나는 과정이다. 모든 글들이 그러하겠지만, 많은 단어와 수없이 긴 문장으로 구성되는 장편소설은 작가의 삶이 반영되지 않을수가 없다. 꼭 전기적 요소를 갖추지 않은 작품이라도, 그 작가의 삶과 생각과 따로 존재할 수 없는 일이다. 그래서 나는 이 책에 실린 글들과 단어들을 통해서 다시 이재익이란 작가와 대면할 수 있었다.
이 책에선 풋풋한 젊음을 발산하던 고등학생이 아니라, 아마도 이재익 작가의 현재의 나이와 비슷한 중년의 남자로 나타난 사람을 만날수 있었다. 현실을 살아가지만 높은 산을 그리워하는 인생. 삶을 살아가지만 끊임없이 느끼는 갈증에 목말하하는 등장인물들. 서로 증오하고, 서로 미워하고, 또 서로 사랑하지만, 또 서로 무언가를 갈망하면서 살아가는 사람들.
모든 사람들의 삶에서 그런 요소를 빼놓을 수가 없고, 모든 작가들의 작품에서 그런 요소들이 등장하지 않을수가 없지만, 이재익 작가의 작품을 접하고 나면 유독 그런 주제들의 냄새가 더욱 강하게 느껴져 한동안 그 여운에서 벗어 날 수가 없다. 이번 두번쨰의 만남에서 그의 문학적인 냄새가 더욱 진하게 느껴지는 것을 깨달았다.
이 작가. 멋있다. 운치가 있다. 모든 작가들이 많은 것을 이야기 하고 있지만, 읽는 사람에게 더 각별하게 와닿는 작가가 있는 법이다. 좀처럼 만족하지 못하는 내 까탈스로운 입맛때문에 소설이란 장르를 잘 접하지 않는 나이다. 이 작가는 그렇게 까다로운 내 입맛에 딱 맞는 성찬을 제공하는 작가였다. 나이게만 그러했는지도 모른다. 읽기 전에는 알수가 없는 법이다. 그래서 우리는 날마다 새로운 책 주변을 서성거리곤 한다. 다른 이들에게 이재익 작가는 또 어떤 느낌으로 다가갈지... 그의 행보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