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친한 친구들 스토리콜렉터 4
넬레 노이하우스 지음, 김진아 옮김 / 북로드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무 친한 친구들' 그냥 친한 친구들이 아니라 너무 친한 친구들이라는 어감이 예사롭지 않다. 나의 가장 친한 친구가 아니라 '너무'라는 수식어가 붙을때는 친근함을 강조할 수도 있지만, 비틈과 비꼬음의 냄새가 물씬 풍기는 것을 느낄수 있다. 이 책에서 느끼는 느낌은 개탄조에 가깝다고 할까.

 

한 남자의 죽음이 발생하고, 그 죽음에 대한 범죄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그 남자의 삶과 주변인들의 삶. 그리 작지 않은 한 마을 전체의 풍경이 스케치된다. 외양적인 스케치가 아닌것은 물론이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그 사람들이 살아가는 방식들이 한사람 한사람 겹쳐지면서 그렇게 얽기고 설킨 모습으로 모여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에 대한 거대한 조감도라고 할만한 책이다.

 

그러나 이렇게 사람들이 살아가는 풍경과 그 내면을 잘 드러내는 이 책이 놀랍게도 전혀 지루하지 않는 이유는, 지루하기는 커녕 박진감이 넘치고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긴박감을 느끼도록 유발하는 이유는, 이 책이 치밀한 설계도에 의해 의도적으로 잘 구성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은 근본적으로 미국드라마 CSI와 같은 수사형식을 띤 경찰 수사를 다루는 책이다.

 

CSI라는 드라마가 시즌을 거듭하면서 장수하는 것은 물론, 지역을 달리하면서 한해에도 여러편이 만들어지기에 이르는 것은,  CSI라는 드라마가 단순한 미스테리를 해결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기 떄문이다. 그 드라마 안에 동료들의 우정, 아픔과 갈등이 잘 나타나 있고, 범죄수사를 통해 드러나는 사람들의 삶의 단면을 통해서 인간에 대한 이해와 탐구를 하는 내용들이 드러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을 해본다.

 

이 책은 그러한 요소를 극대화 한 책이다. 치밀한 수사를 다루는 장르소설이라기 보다는 수사라는 장치를 통해서 한겹씩 한겹씩 벗겨지는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보면서 처음에 살인사건이 생겼을때, 혹은 초기단계의 수사상황에서 느껴지는 혐의와는 전혀 다른 혐의들이 드러나고, 전혀 엉뚱한 이유에서 살인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 밝혀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은 끝까지 긴장감을 유지하면서 독자들이 몰입하게 하는 힘을 가지면서도, 책을 읽으면 읽을 수록 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한 안타까움, 섬듯하리만큼 무서울수 있는 인간이라는 대상을 깊이 있게 이해하게 되는 책이다. 그래서 이 책은 사람들의 삶을 잘 스케치하고, 그런 사람들의 삶이 한겹한겹 중첩되면서 한 마을에 걸친 심리적 풍경화를 보는 듯한 책인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시아 2011-09-23 00: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까부터 리뷰에서 섬듯하다는 표현이 자주 등장하는데
섬듯하다->섬뜻하다로 고치셔야 합니다.
표준어가 아니니까요~^^
리뷰 잘 보고 있습니다.
감탄할만큼 잘 쓰신 리뷰들이 정말 많네요!
고3이지만 갑자기 푸른하늘님께서 리뷰 남기신 책들을
방안에 가득 쌓아놓고 하루종일 읽고 싶어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