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이 아니면 언제? - 투신자살한 아우슈비츠 생존작가 프리모 레비의 자전적 장편소설
프리모 레비 지음, 김종돈 옮김 / 노마드북스 / 201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전 영화 '디파이언스'를 흥미롭게 본적이 있었다. 2차 대전 당시의 유태인이라고 하면 게토에 수용되어 있다가 아우슈비츠로 끌려가는 것이 그들의 전형적인 삶의 패턴이라고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피아니스트의 전설' '쉰들러 리스트'등 내가 본 수많은 2차대전의 유태인 관련 영화들은 한결같이 그런 패턴을 따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안나의 일기' 도 숨어서 언제 잡혀갈지 몰라 전전긍긍하는 유대인의 삶을 그려주는 책이다.

 

내 인식에서 유대인의 운명을 더욱 강하게 결정지은 것은 정신분석학자 '빅토르 프랑크'의 저서 때문이다. 역시 유대인 수용소의 생존자였던 그는, 죽음을 눈앞에 둔 구조적이고 장기적인 절망상황에서 인간은 어떻게 의지를 말살당하하게 되는지를 나에게 보여주었다. 또 그는 그렇게 절망적인 상황에서 인간이 어떻게 결단하고 어떻게 자신의 자유의지를 유지할 수 있는지도 보여주었다. 실존적인 결단의 상황에서 인간이 선택할 수 있는 고결한 결단이라는 것이 큰 감동을 주었지만, 그 역시 수용소 안의 유대인을 대상으로 한 책이었었다.

 

그런데 이 책은 영화 디파이언스처럼 수용소 밖에서 저항하는 유대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숨어서 웅크리고 있는 유대인의 모습도 아니고, 2차대전 후에 이스라엘을 건국하려고 몸부림치는 유대인의 모습과도 다르다. 배고프고 추위에 떨면서 상존하는 위협에 몸을 도사리고 있는 존재일 수 밖에 없지만, 깊은 숲을 배경으로 많은 수의 유대인들이 모여서 총을 들고 적극적으로 저항을 하는 모습은 전에는 전혀 접해보지 못했던 감동이었다.

 

'디파이언스'와 상당히 유사한 내용이지만 영화가 담을수 없는 세밀한 세부묘사와 감정의 세밀한 흐름을 정밀하게 담아놓은 점이 훨씬 더 감동이 크다. 이 책에 실린 인물들은 가공이지만, 책이 묘사한 내용들의 대부분은 실제로 있었던 사실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이라고 한다. 엄청난 폭력에 노출된 사람들이 집단을 형성하며 그 내부의 갈등을 조정하면서 공동으로 두려움이라는 내부의 적과, 폭력이라는 외부의 적과 맞서 싸우는 과정이 감동적으로 그려졌다.

 

이 책은 거대한 전쟁을 묘사한 것이라기 보다는 전쟁에 대입된 일련의 사람들이 그들이 결코 원하지 않았던 전쟁이라는 상황에 편입된 후에 어떤 선택들을 했는지, 그리고 현실이라는 이름의 상황은 그들이 한 선택에 대해서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를 잘 보여주는 거칠면서도 예리히고 섬세하면서도 드라마틱한 대하소설같은 감동을 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