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경제학 - 실제 하버드대 경제학과 수업 지상중계
천진 지음, 최지희 옮김 / 에쎄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하버드 학생들은 어떤 경제학을 배울까. 경제학 원론은 다 거기서 거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지만, 하버드 대학의 경제학 교수들의 면면을 생각해보라. 저마다 일가를 이룬 학파의 거두들이 가득한 곳이 하버드 대학이다. 같은 경제학을 가르치더라도 그들의 시각은 다를수밖에 없다. 사실상 그들이 가르치는 경제학은 이름만 같지 내용은 각양각색일 수 밖에 없다.

 

물론 우리는 하버드 대학의 학생들이 배우는 내용을 다룬 책을 일부러 읽지 않아도, 그 대학 교수들의 저서를 통해서 그들을 가르치는 교수들이 어떤 학설을 주장하고 지지하는지를 알수 있다. 그들 대다수가 경제학 저서를 펴냈을 것이고, 그 책들중 많은 것들이 국내에 번역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책에 나오는 교수들의 이름을 들어보면 그 이름이 낮설지 않은 사람들이 많은 것도 바로 그들이 국내에도 많이 소개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한 사람의 학설을 담은 책을 읽는 것과 그 사람과 대변하면서 직접 말을 통해 이야기를 듣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다. 바로 그 차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많은 시간을 들여가며 저자와의 대화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이 책은 하버드 대학의 경제학자들의 책을 통해서 접하기 힘든 부분들을 많이 담고 있는 책이다. 국내에 TV로도 소개된 '정의란 무엇인가'의 강의의 생생한 장면처럼 이 책은 하버드 경제학 교수들의 강의를 생생하게 담고 있다.

 

이 책은 하버드 대학에서 경제학을 공부한 저자가 그들의 교수내용을 대상으로 책을 낸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은 단순히 교습내용을 정리한 책이 아니다. 그들의 육성을 그래도 옮겨적은 책이기 때문이다. 그 교수의 어투, 그 교수가 예로든 예화. 그 교수가 학생들과 질의응답을 한 내용들이 그대로 다 들어 있다. 물론 저자가 일부 정리를 하였지만, 이 책을 읽으면 마치 하버드 대학의 강의실에 않아서 그 교수들과 마주하고 있는 것 같은 생생한 느낌이 든다.

 

이렇게 유례를 찾을수 없을 정도로 독특한 책을 내게 된데는 저자가 저널리스트라는 배경도 큰 역활을 했을 것이다. 사실을 정리하고 전하는 기사를 쓰던 경력이 하버드 대학의 경제학 강의 내용을 하나의 기사처럼 정리하게 한 동기가 되었을 것이다. 또한 저자가 미국에서 생활하는 중국출신이라는 점도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중국은 아직도 많은 것을 배워야 할 필요가 있고, 저자는 그런 의미에서 '자료를 축적'한다는 뜻에서 자신의 강의 노트 내용을 잘 요약해서 이 책의 내용들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런 독특한 배경덕분에 탄생한 이 책을 통해서 우리들 또한 오늘날 세상을 주름잡는 교수들의 생생한 강의를 만나고 그들과 직접 질의응답하는 경험을 가질수 있는 책을 접할수 있게 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