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법의 소설 쓰기 - 하루 1시간 원고지 3매로 제2의 인생을 꿈꿔라!
한만수 지음 / 한스앤리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소설 작법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글을 잘 쓸려고 하지 말고 일단 소설 한편을 완성하고 보라는 주장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많은 사람들이 글쓰기에 도전하지만, 또 그에 못지 않게 많은 사람들이 채 한편을 다 완성하지 못하고 글쓰기를 다념햐는 이유가 지나치게 잘쓰려고 하는 강박관념 떄문이라고 설명한다. 문제에 관한 진단이 그렇기 때문에 처방도 다를 수 밖에 없다. 너무 잘 쓸려고 하지 말고 일단 소설을 한편 완성해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저자의 주된 논지이다.
아니. 어떻게 차근차근 준비하지도 않고 소설을 마감할수가 있단 말인가라는 걱정에 대해서 저자는 나름의 논리로 일단 마쳐보라는 설득을 계속한다. 가만히 읽어보면 저자의 논지는 무척 설득력이 있어보인다. 기존의 글쓰기에 대한 접근법이 너무 글을 잘 써야 한다는 강박관념 떄문에 지례 주눅이 들어서 글을 마치지 못한 경우가 많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우리들 누구나가 잘 쓰는 메일이나 일기쓰기처럼 글을 쓰려는 가벼운 마음으로 접근한다면 단편소설의 분량인 원고지 100매 가량의 글을 완성하지 못할 것도 없을 것 같기 떄문이다.
그렇다고 저자가 글을 막 쓰라고 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글을 완성하는 경험을 가지는 것이 글을 완성하는 자신감을 가지는데에 있어 무척 중요하다고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저자 역시 글의 시점, 글의 도입부, 글의 마감, 글을 맛깔나게 하는 요소등의 다양한 디테일에 관해 많은 지면을 들여 설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저자가 접근 하는 방식은 치밀한 그림을 한쪽에서부터 다른 쪽으로 늘려서 나가는 것과는 다르다. 일단 대략의 밑그림을 그리고, 그위에 바탕 색깔을 칠하면서 때로는 구도를 수정하고 디테일을 변경시켜 나가면서 서서히 전체 모습을 드러내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떄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소설의 가치가 떨어질 이유는 없을 것 같다. 이런 작법이 글을 완성시킬 가능성을 높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소설의 완성도가 떨어져야 할 개연성으로 연결될 것 같지는 않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모든 설계도를 다 완성해놓고 글을 쓰기 시작하는 방법보다는 일단 소설의 대략적인 얼개를 만들어 놓고, 중간 중간 모자란 부분을 채워놓고, 전체적인 통일성에 지장이 되는 부분을 삭제하거나 고치고, 또 전체적인 이야기의 내용을 다듬는 것도 가능한 이 새로운 방법이 소설을 완성시키는 비율을 훨씬 높일뿐만 아니라, 일단 성취한 것에 대한 자신감이 더 많은 새로운 도전을 가능하게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