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특이점이 온다 - 기술이 인간을 초월하는 순간
레이 커즈와일 지음, 김명남.장시형 옮김, 진대제 감수 / 김영사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궁금할때가 있다. 거침없이 발전하는 인류의 미래에는 과연 무엇이 있을까. 상상도 할 수 없는 기술로 뒤덮인 장미빛 유토피아가 있을까. 아니면 공상과학영화에서 말하는 비참하고 우중충한 디스토피아가 기다리고 있을까. 오늘날의 상황을 가지고 생각해보면 두가지 다 가능성이 있다.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기술의 진보는 틀림없이 놀라운 신세계를 가리키고 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엄청난 에너지의 소비와 환경의 파괴는 디스토피아를 가리키고 있다. 어쩌면 미래는 이 두가지 모두가 한꺼번에 공존하는 세상일수도 있겠다. 그래서 건강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내 기필코 오래토록 살아남아서, 미래의 모습이 어떤 것인지 확인해보고야 말리라는 오기같은 것 말이다. 이것은 장수에 대한 열망이 아니라, 순수한 지적인 호기심의 발로이다.
이 책 '특이점이 온다.'는 인류가 발전을 향해서 나아갈때 지금부터 20년 후에 이룩할 수 있는 발전의 최대치를 그린 책이다. 이 책이 말하는 미래는 너무나 장미빛으로 가득해서 사실 잘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그러나 무시할 수도 없다. 우리가 지나온 길을 되돌아보면 인류는 항상 당시의 사람들 대부분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이룩했고, 더 큰 진전을 이루어 내었기 때문이다. 물론 사회적인 문제나 정의에 관한 내용이 아니라, 과학기술적인 측면에 한정 했을때에 그렇다는 말이다. 그리고 그런 발전을 거의 정확하게 예측한 소수의 사람들 중에 이 책의 저자가 들어 있었다. 과거의 예측이 맞았다는 것이 미래의 예측이 맞을 것이라는 증명이 되지는 못한다. 그러나 그런 그의 전력이 우리가 그가 미래를 예측하는 방식에 일말의 정당성을 부여할 수는 있다.
그래서 이 책 속으로 들어가서 한번 여행을 해본다. 20년이라는 그리 멀지 않은 미래까지 인류는 어떤방식으로 얼마만큼의 진보를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인가... 그가 말하는 미래는 너무나 놀랍다. 특히 '특이점'이라는 그가 말하는 개념은 마치 우주 물리학의 '빅뱅' 의 임계점을 연상시키게 한다. 어느 정도까지의 발전단계에 도달하면 기계와 인간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기계가 스스로 과학을 발전시켜서 놀라울 정도로 자기진화를 계속하는 새로운 문명이 펼쳐진다는 개념이다. 속는 셈치고 읽어보고 머리를 시원하게 씻어내는 것도 좋을 듯하다. 한편의 환타지를 보았다고 생각해도 좋고, 이 책의 장미빛 미래가 이루어지면 더욱 좋은 것이 아니겠는가. 그리고 몇명의 천재적인 사람들은 이 책에서 얻은 영감으로 실재로 새로운 미래를 개척하기 위해 매진할 수도 있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