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의 사기꾼 - 속고 속이는 자의 심리학
사라 버튼 지음, 채계병 옮김 / 이카루스미디어 / 2006년 11월
평점 :
절판


 

세상에는 정말 사기꾼들이 많다. 연일 메스컴을 장식하는 그런 사람들이 없으면 세상은 한결 살기 편한 곳이 될 것이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그런 질 나쁜 사기꾼들은 당연히 처벌을 받아야 하고, 또 이 세상에서 하루빨리 없어져야 마땅하다. 그런 나쁜 사람들 때문에 피해를 보는 사람들의 억울함이야 무엇으로 말을 할 수 있겠는가.


그런데 세상에는 종종 남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는 사기꾼들이 있다. 분명히 거짓을 말하는 것이긴 한데 그걸로 인해 타인에게 피해를 끼치지도 않고, 적극적으로 피해를 끼치려고 의도하지 않은 사기꾼들이 존재하기도 하는 것이 이 세상이다. 세상살이는 복잡하고, 그래서 단순히 사기는 무조건 나쁜 것이라는 단순한 도식으로만 세상을 볼 수가 없는 이유이다. 그래서 때로는 상황윤리라는 것이 필요하기도 한 것인가보다.


그런 사기꾼의 대표적인 경우로 들수 있는 경우가 바로 이 책에 등장하는 제임스 베리 박사의 일화이다. 그는 평생을 남자로 살았고, 세상은 그가 남자인줄 알고 있었다. 그녀가 여자라는 것이 밝혀진 것은 죽고 난 다음이었단다. 이 책에는 그 외에도 수많은 다른 사기꾼들의 이야기들이 나온다. 의사나 변호사로, 혹은 재벌로 자신을 위장하는 사람들...


이 책은 돈과 권력을 위해서 거짓말을 하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이 태어난 사회가 자신에게 지워주는 한계를 극복하고 또 차별을 극복하기 위해서 거짓말을 한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 한다. 이런 시각에서 본다면 그들의 거짓말은 바로 시대가 그들에게 지워준 편견과 억압의 반영일수도 있다. 사기꾼은 그들이 아니라, 그들에게 그런 행위를 하도록 만든 시대일수도 있다는 논리가 성립할 수도 있다!. 그들의 존재는 다른 사람들이 미처 인식하지 못하던, 그들이 살아가는 시대의 편견을 반영하는 일종의 거울의 역활을 하는 것이었던 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