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틀러와 스탈린의 선택, 1941년 6월
존 루카치 지음, 이종인 옮김 / 책과함께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오늘날의 전쟁은 총력전이라고들 이야기한다. 그 나라의 국력전체가 총동원되어서 전쟁의 승패를 가르기 때문이다. 그런 최초의 총력전의 사례로 흔히 거론되는 것이 바로 제 2차 세계대전이었다. 그 전쟁은 온 국토가 전장이었고, 수많은 사람들이 전투에 참가했으며, 나라의 모든 사람들이 군사력을 지탱하기 위한 노력에 동원되었었다.


그런데 그런 전쟁에서도 전쟁을 지휘하는 지도자의 판단은 전쟁에 크나큰 영향을 미친다. 세계 2차 대전의 승패를 가른 분수령은 바로 독일의 소련에 대한 침공이었다. 역사에 가정은 없다고 하지만, "만약 그때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지 않았더라면..."이라는 생각을 해보지 않을수가 없다. 소련침공으로 말미암아 독일군은 전선이 확대되었고 엄청난 정예병력과 군수물자를 잃어야 했기 때문이다.


흔히들 독일의 소련에 대한 침공이 독일에 절대적으로 부족했던 원유를 확보하기 위해서 택한 어쩔수 없는 선택이었다고들 생각한다. 나 역시 이 책을 접하기 전까지는 그런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이 책은 히틀러와 스탈린의 사이에 오간 신뢰의 사슬이 끊어진 것이 소련침공의 결정적인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이 책은 그렇게 역사를 지도자들 사이의 신뢰와 심리대결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는 책이다. 요즘의 역사분석에서는 흔히 접하기 어려운 이런 관점은 오히려 신선하고, 낮선 주장을 읽는 눈이 즐겁기까지 하다.


히틀러와 스탈린. 두 걸출한 지도자의 심리대결. 비록 그 중 한사람인 히틀러는 실패하고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지만, 아직도 히틀러가 선하고 악하다는 차원을 떠나서 한 인간으로써 걸출한 인물이었다는데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그런 히틀러는 도대체 왜 소련을 침공하는 악수를 두었을까. 그리고 스탈린은 도대체 왜 독일군이 소련을 침공할 준비를 한다는 정보보고에도 불구하고, 독일의 소련 침공은 없을 것이라고 믿고 있었을까. 저자는 이런 의문에 대해 매우 흥미로운 설명을 한다.


그런 심리적인 설명은 전후 마샬플랜에 대한 소련의 반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이어진다. 먀샬플랜이 동구권을 영향하에 두려는 미국의 의도를 반영한 것이라는 소련의 판단과 과잉대응이 결국 소련의 체제가 감당할 수 없는 군사대응을 계속하게 해 오늘날과 같은 소련의 해체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무척 흥미로운 시각을 가진 독서거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