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의 두 얼굴 - 세계화 시대의 양극화를 넘어서는 길
로버트 A. 아이작 지음, 강정민 옮김 / 이른아침 / 2006년 2월
평점 :
절판


 

나는 얼마 전 ‘올리브 나무와 렛서스’를 쓴 프리더먼의 저서 ‘세계는 평평하다’를 읽었다. 그는 세계가 인터넷과 빠른 교통수단등을 통해 연결되어 세계를 연결하는 문턱이 매우 낮아졌다는 점을 역설했다. 그 점은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는 지적이었다. 그는 현명했고, 세계는 그의 주장대로 더 가까워졌다.


그가 세계는 평평하다고 주장한 것은 중의적인 뜻이 있어 보인다. 그가 말하는 평평한 세계란 그렇게 밀접하기도 하지만, 기회가 빈국이나 부국 모두에게 똑같이 열려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는 세계화가 모든 국가와 모든 사람들에게 평등한 기회를 보장한다는 뜻을 전하고 싶었던 것이다.


그는 세계화가 인도의 엘리트들에게 미국으로 오는 수고를 하지 않고, 자신의 나라에서 자신의 음식을 먹고, 자신의 가족들과 지내면서, 더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한다고 말한다. 반대로 세계화는 미국의 많은 기업들에게 더 낮은 비용으로 꼭 같은 일을 해내어 전 세계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기업이 될 기회를 준다고 말한다.


그가 말하는 것은 기회이다. 세계화는 빈국과 부국 모두에게 준비된 사람에게 더 나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그래서 세계화는 평평한 세상을 만든다는 것이다. 그가 말하는 평평한 세상은 부국과 빈국이 평등하게 기회를 보장받을 뿐 아니라, 더 나은 삶을 유지할 수 있는 더 나은 세상이라는 이데올로기성을 갖고 있었다.


세계화의 얼굴이라는 이 책은 바로 그 책을 읽으면서 내 가슴을 답답하게 짓누르던 그 느낌을 시원하게 뚫어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