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는 물처럼 내게 밀려오라
이정하 지음 / 문이당 / 201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잠겨 죽어도 좋으니

너는 

물처럼 내게 밀려오라.


이정하 시인의 시 <낮은 곳으로>의 시 구절 중 하나이다. 가장 유명한 문장 중 하나로 시 좀 읽어봤다 하는 사람들부터 시에 대해 전혀 모르는 사람들도 알법한 구절이다. 



시집 이름도 <너는 물처럼 내게 밀려오라>이다. 이정하 시인의 시와 함께 짧은 글귀도 있다. 작가의 말에 나오지만 시와 함께 시인의 변을 묶어 함께 엮었다고 한다. 시인의 생각이 담겨있어서 그런지 시가 더 와닿는다. 시가 앞에 있고 글이 뒤에 있어 시를 읽고 느낀 점을 시인의 생각과 비교할 수 있어 좋았다. 


'잠겨 죽어도 좋으니 너는 물처럼 내게 밀려오라'라는 구절은 내가 정말 좋아했다. 파도에 휩쓸려버릴 듯한 그 벅찬 마음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바다에서 놀다가 큰 바도가 날 훅 휩쓸고 가는 그 느낌이 떠올라 정말 좋아했다. 부끄러운 고백을 하나 하자면, 나는 이 구절이 이 시의 전부인 줄 알았다. 너무 유명한데 시 전체를 읽어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이번에 이 시집을 읽으며 <낮은 곳으로>라는 시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그리고 하나 더, 좋아하는 구절이 생겼다. 


그래, 내가 

낮은 곳에 있겠다는 건 

너를 위해 나를 

온전히 비우겠다는 뜻이다. 


누군가에게 이런 고백을 받으면 정말 심장이 두근거리지 않을까 생각했다. 시 하나에 마음이 설렌다. 이정하 시인의 시들은 그런 것들이 많아서 좋았다. 두근 거렸던 마음을 추억해 볼 수 도 있고, 연애세포를 깨우는 두근거림을 주는 시도 있다. 사진도 함께 있어 시를 더 몰입해 읽을 수 있었다.


보통 짧은 시가 마음에 많이 남는다. 그래서 그런가, <나무와 잎새> 시가 좋았다.


떨어지는 잎새에게 

손 한 번 흔들어 주지 않았다. 


나무는 아는 게다.

새로운 삶과 악수하자면

미련 없이 떨궈내야 하는 것도 있다는 것을. (p.229)


시집을 읽다보면 이제는 모든 것이 스마트폰의 채팅으로 되어있지만, 한번쯤 내 마음을 울린 시와 널 떠올리게 만드는 시를 사랑하는 사람에게 마음을 담아 편지로 써 주는 것도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꽃샘추위와 함께 코로나로 삭막한 요즘, 봄의 설렘을 가져다 준 시집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크라테스의 변명·파이돈·크리톤·향연 (양장) - 죽음으로 완성시킨 소크라테스의 진리
플라톤 지음, 강윤철 옮김 / 스타북스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은 소크라테스의 변명파이돈크리톤향연,으로 구성되어 있다책을 읽으며 논리적 대화에 대해 생각해보았다대화를 할때 논리적인 것은 중요하다대화는 주로 설득과 공감을 위한 것이다상대방에게 나에대한 이야기를 전달할  상대방이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대방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논리가 필요하다 책에서 소크라테스파이동크리톤향연 모두 대화로 이루어진 글이다그러므로 누군가를 설득하기 위한 논리가 가득하다


책은  내가 그들의 틈에서 대화를 하고 있는 느낌을 준다그들은 기원전으로 300년도 전에 사람들이다하지만 모든 인간들의 기본적인 죽음과 사랑그리고 법과 관련해서 대화하는 그들의 지식은 놀랍다지금의 사람들의 생각과 비슷한 점도 많고 공감될만한 논리도 많다물론 지금의 시대상과는 다른 점들도 있지만 기원전 사람들과 공감할  있다는 것은 놀라울뿐이다


책을 읽자마자 글을 논리적으로 쓰고 싶은 사람대화를 논리적으로 하고 싶은 사람을 위해  책을 추천해주고 싶었다차근차근 그들의 말을 따라 읽다보면 어떻게 이야기를 시작하고끝맺고구성할  있는지 이해할  있을 거라 생각한다죽음과 사랑에 대한 이야기는 많은 배경지식도 필요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뉴스 다이어트 - 뉴스 중독의 시대, 올바른 뉴스 소비법
롤프 도벨리 지음, 장윤경 옮김 / 갤리온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보의 바다'라는 말이 유행했던 적이 있다. 인터넷이 활성화 되면서 무엇이든 찾을 수 있지만 길을 잃을 수도 있는 넓고 광활한 인터넷 세상을 의미했다. 이제는 인터넷에서 더 나아가 스마트폰 시대다. 작은 핸드폰으로 세상과 소통하는 사회다. 
당신의 핸드폰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면 무엇이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많이 당신을 반기는 가? 나의 스마트폰 인터넷은 실시간 검색순위가 항상 존재한다. 인터넷에 접속하자마자 보일 때도 있고, 검색창으로 무언가를 검색해도 나를 졸졸 따라다닌다. 실시간 검색순위의 하나를 클릭해보면 수많은, 같은 내용을 다루는 기사들을 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다. 뉴스기사란을 보면 하루에도 수백, 수천개의 기사가 사회, 정치, 경제, 연예, 스포츠 등등으로 분류되며 쏟아져나온다.
그 모든 기사들을 읽고 그 많은 정보들을 알고 있어야 할까? 곰곰이 생각해 본다면 이런 모든 뉴스들은 대부분 몰라도 되는 것들이다. 알고 있다고 해서 인생이 바뀔 정도로 중요하지 않고, 모른다고 해서 손해가 되거나 피해를 주지 않는다. 대부분이 자잘한 루머와 자극적인 보도 뿐이다. 이 책 <뉴스 다이어트>는 그런 뉴스의 홍수에서 허우적 대는 우리에 대해 이야기한다. 
책의 저자는 뉴스를 보지 말아야 하는 이유를 여러 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자극적이고 수동적인 정보의 습득, 충분한 근거가 없는, 비논리적인 기사들, 홍보를 위해 존재하고 조작이 있는 뉴스 등등 여러가지 이유를 들어 '뉴스 다이어트'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개인적으로 흥미로웠던 것은 <'올해의 순위'에 평범한 사람을 위한 보도는 없다> 였다. 평소에 이런 순위에 대해 불필요함과 순위를 매기는 것에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피해왔다. 그런 나의 마음을 글로 잘 정리해 공감이 갔고 또 순위를 매기는 자극적인 뉴스를 피해야 할 여러 이유가 생겼다. 
이 책에서 조금 아쉬운 점이 있다면 외국을 중심으로 이야기 한 것이기 때문에 우리의 시각에서 보는 뉴스로는 조금 부족한 점이 있다. 정치적으로 우리나라의 뉴스에 대한 많은 논란이 있었는데 우리나라의 관점으로 보았다면 조금 더 흥미로웠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마지막에 작가가 뉴스대신 추천하는 발간지나 글은 외국 기준이기 때문에 한국 이슈를 얻기는 힘들다. 
'과유불급'이라는 말은 괜히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적당한 뉴스는 필수불가결한 것을 작가도, 나도 인정한다. 사회인이라면, 어느 직종에 종사한다면 끝없는 follow up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는 직업의 전문성과 소통을 위해서는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굳이 많은 시간을 뉴스를 읽는데 쏟을 필요는 없고, 또 사탕같이 자극적이고 달콤한 기사들에 의해 다른 길로 새지 않기 위해서 항상 주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데미안 - BTS 앨범의 콘셉트 소설 그리고 요즘책방, 책 읽어드립니다
헤르만 헤세 지음, 서상원 옮김 / 스타북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고 난 후 다시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든 책은 오랜만이었다. 헤르만 헤세의 또다른 자전적 소설이라는 <수레바퀴 아래서>를 읽은 경험이 있어 비슷할 것이라 생각했지만 <데미안>은 더 심오하고 더 많은 생각을 요구한 책이었다. 한편으로는 <수레바퀴 아래서>보다 <데미안>은 더 공감적인 소설이었다. 

아마 가장 쉽게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은 초반에 거짓말 때문에 프란츠 크로머에게 괴롭힘을 당한 것일 것이다. 허세를 부리기 위해 사과를 훔쳤다고 거짓말을 했다. 그 거짓말을 프란츠 크로머는 사실로 만들어냈다. 작은 거짓말이 사실이 되어 나를 얽매는 것이다. 그 이후로 프란츠 크로머에게 2마르크의 빚을 지게 되고 사실상 프란츠에게 구속되어버린다. 실제로 이 책을 읽은 나는 이러한 경험이 있다. 이렇게 심각할 정도로 일이 커지지는 않았지만, 어리석은 허영심으로 거짓말을 하고, 그것이 진실은 아니지만 진실이 되어버려 문제가 생겼었다. 한번 뱉은 말은 다시 되삼킬 수 없다는 것이 얼마나 후회되는 순간인가. 허영심과 거짓말의 문제는 나를 진실된 사람이 되어야한다는 뼈아픈 교훈을 주게 만든다. 사실 주인공 싱클레어도 자신의 거짓말을 돌이킬 수 있는 순간은 있었다. 프란츠가 물었을 때, 부모님의 돈을 훔치기 전, 지속적으로 프란츠에게 괴롭힘을 당하는 순간 등 자신의 거짓말을 고백할 순간들이 있었다. 하지만 싱클레어는 자신의 거짓말에 대한 책임을 지기 두려웠던 것일까, 끝까지 거짓말을 고백하지 않는다. 여러 괴롭힘과 죄책감 속에서 프란츠 크로머에게 받는 괴롭힘, 가족들에 대한 배신은 싱클레어의 거짓말에 대한 벌일지도 모르겠다. 
<데미안>에는 많은 공감요소가 있다. 그것이 가장 큰 메리트라고 생각한다. 정말 인기있는 작품이라 읽어봐야지, 하고 생각했지만, 이후 이 책을 읽으며 우리가 공감할 부분과 생각할 부분이 많은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뇌·신경 구조 교과서 - 아픈 부위를 해부학적으로 알고 싶을 때 찾아보는 뇌·신경 의학 도감 지적생활자를 위한 교과서 시리즈
노가미 하루오 지음, 장은정 옮김, 이문영 감수 / 보누스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경계는 정말 복잡하다. 정말로. 간단한 것만 외우자고 생각해도 그 양이 어마어마하다. 예전 해부학을 배울때 신경계는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하고 외우느라 엉망진창이었던 기억이 아프게 남아있다. 그만큼 너무 복잡하고 설명도 너무 애매하고 위치를 이해하기도 너무 힘들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뇌 신경 구조 교과서>는 이해하기 쉽게 그려져 있고 한국어, 그리고 많이 이용되는 영어로 단어가 함께 있는 데다가 간단한 설명이 되어있어서 좋다. 또한 분류가 잘 되어있는 것도 장점 중 하나이다. 제일 좋았던 것은 깔끔한 그림. 그림이 정말 잘그려져 있다고 생각했다. 깔끔하게 그려진 데다가 필요한 부분만 잘 강조해서 그려져있다고 생각했다. 



의학전공은 아니기 때문에 이렇게 자세하게 신경계를 공부한 적은 없지만 이렇게 자세하게 설명되어있고 잘 분류되어있으니 공부하는 재미가 있었다. 개인적인 호기심으로는 책을 읽다 노르에피네프린을 노르아드레날린이라고 하던데..같은 단어로 이용되는 것은 알지만 주로 노르에피네프린이라고 불렀는데 의학쪽에서는 노르아드레날린이라고 쓰는지..아니면 일본책을 그대로 번역해서 이 단어를 쓰는 건지 살짝 궁금해졌다. 노르에피네프린은 정말 많이 들었지만...NA도 조금 생소했다. 


개인적으로는 영어단어 위주로 구조를 암기하는 것을 추천하고 한글로 된 단어는 이해하는데 이용했으면 한다(한글 단어를 외우기보다는 영단어를 외우는 것이 좋다) 주로 이용되는 단어가 영어이기 때문이다.  전공자가 아닌 이상 일상적으로 쓰이지는 않지만 이 단어가 뭘까, 이 부위가 어디일까 궁금할때 찾기 유용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신경계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정말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이지 않을까 싶다. 개인적으로 전공책은 이보다 더 복잡하고 어렵게 같은 내용을 설명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잘 분류되어있고 그림이 자세하게 나온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