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젊음의 나라
손원평 지음 / 다즐링 / 2025년 8월
평점 :
(이 책은 출판사를 통해 가제본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된 글입니다.)
고령화 사회라고 하면 어떤 사회를 말하게 되는 걸까. 최근에도 국민연금 인상으로 인해 말이 많았다. 출생률은 나날히 감소하고 있고 인구는 역피라미드의 구조로 발전하고 있다고 한다. 그 중간에 끼인 나는 과연 어떤 미래를 맞게 될까, 하는 생각을 하곤 한다.
나는 젊은 편이다. 아직 사회생활을 열심히 하고 있고 나라가 정한 정년 퇴직 시기가 한참 남아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이가 많다. 지금 태어나는 아이들이 내 나이가 될 때면 나는 더 나이가 들 것이고 많은 것들을 그들에게 의지하게 될 수도 있다.
이 책 <젊음의 나라>는 고령화 사회에 대한 작가의 의식이 끊임없이 확장되어 만들어진 소설이다. 노인들과 노인들을 위해 일하는 젊은이들. 간단하게 말하면 그렇게 되는 것 같다. 하지만 소설의 마지막에는 이 설명을 깨부수는 이야기가 진행된다. 고령화 사회를 어떤 시각으로 바라봐야 할지 이 책이 그 고민을 끊임없이 해주고 길을 내어주는 것 같다.
이 책에서는 고령화 사회의 많은 문제점을 꼬집고 있고 많은 갈등들을 이야기 속에 녹여 잘 풀어내고 있다. 직접적인 주제를 내어주지 않아도 책을 읽으며 생각하게 되는 문제들에 더 깊이 있는 독서가 가능했다. 다른 방면으로는 AI에 대해서도 많이 언급된다. 처음 주인공인 나라의 직업은 호텔에서 청소를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휴가 후 출근한 직장에서 그녀는 잘렸다. 그녀의 업무를 AI가 대신 해줄 예정이었기 때문에. 소설 곳곳에는 AI와 메타버스가 나온다. AI가 익숙한 사람들이라면 받아들이기 쉽지만 모든 것이 사람의 손을 타야했던 시대의 사람들은 이 이야기에 꺼림직함을 느낄 지도 모른다. AI가 사람마냥 사회생활을 하다니.
책을 덮고도 끊임없이 생각하게 된다. 이 책이 상상력이 가득한 SF소설이라고 생각하다가도 마냥 fiction이 아닐 것 같은 불안감. 부와 젊음으로 삶의 궤적이 달라지는 것이, 선택의 가능성마저 좌지우지 된다는 것이 현실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