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뭐 먹지? - 권여선 음식 산문집
권여선 지음 / 한겨레출판 / 201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작가의 외모는 먹을것과 크게 연관이 없어 보이는데
글은 얼마나 먹고 싶게 써 놨는지
새벽에 쓱 배송 왕창 주문 했잖아.
이거 넣고 저거 넣고
이렇게 저렇게 만드는 방법을 보다보니
나도 만들어야지 생각하며
주문을 안 할 수가 없었다.

아무튼 너무 더워서 먹히는것도 없고
책도 안 읽히는데
면 먹듯이 후루룩 잘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똑게육아 - 내 아이에게 "꿀잠" 선물하기 프로젝트 똑게육아
로리(김준희) 지음 / 아우름(Aurum) / 201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게 무슨 소리야
애 키우느라 시간도 부족한데
이런 책을 이해될때까지 몇번이나 반복해서 읽어야 한단 말인가
스케줄을 비롯한 기타등등의 그림이 글 보다 이해가 안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유진의 엄마도 아이도 즐거운 이유식 - 쉽고 빠르게 뚝딱! 내 아이가 잘 먹어 준 영양 만점 레시피
소유진 지음, 범은경.김하영 감수 / 길벗 / 201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쉽고 내용이 간결함.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1-09-29 23: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소유진의 엄마도 아이도 즐거운 이유식 - 쉽고 빠르게 뚝딱! 내 아이가 잘 먹어 준 영양 만점 레시피
소유진 지음, 범은경.김하영 감수 / 길벗 / 201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쉽고 내용이 간결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굿바이 공황장애 - 두려움에서 벗어나 행복 찾기
최주연 지음 / 시그마북스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황장애는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타난다.
전쟁터도 아니고 강도를 만난 것도 아니고 어떤 외부적인 위험이 없는 상태에서 갑자기 불편한 신체증상을 경험하고 그 증상이 공포로 반응 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왜 재수없게 이런 병에 걸렸을까 생각할 수도 있는데 저자는 환자들에게 축하한다고 말하며 그 장점까지 나열한다.
무려 네 가지나 되는데 기억에 남는건 이거다.
[네 번째, 공황장애는 여러분을 인격적으로 성숙하게 만들어 줍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원래 공황장애라는 것이 착하고 인격적으로 성숙한 사람들에게서 주로 잘 나타나는 것인지 아니면 공황장애가 사람들을 인격적으로 성숙하게 만드는 것인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공황장애를 진단받고 잘 치료받은 사람들이 인격적으로 성숙해지는 것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또한 공황장애는 환자들을 겸손하게 만들어 줍니다. 죽음을 생각하고 많은 고통을 경험하면서 자신과 주변을 돌아보게 되고 다른 사람들의 고통을 이해하게 되면서 겸손한 사람이 됩니다.

공황장애 후에 종교를 가지고 있던 사람들은 종교적으로 더 독실해지는 경우도 많이 있고 바깥 일에 몰두하느라 가족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몰랐던 사람들도 가족들을 좀 더 이해할 수 있게 되면서 아내나 아이들에게 가정적인 가장이 되는 사람들도 많이 볼 수 있었습니다.

“공황장애는 전에 보지 못했던 것, 느껴보지 못했던 것, 전에 생각하지 못했던 것을 보고, 느끼고, 생각하게 해 줄 것입니다. 세상을 다른 곳에서 바라보게 되면서 당신의 인격을 성숙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공황장애는 약물에 의지해서만은 나아지기 어려워
인지치료룰 병행해야하는 환자의 노력이 중요한 질병이다.
남들에게는 아무렇지 않은 상황이나 장소가 공포로 다가와 죽을것 같은 인지오류를 이겨내야 하므로 이 과정을 겪음에 따라 성숙으로 가는 기회를 맞는게 아닐까 생각한다.

환자들이 의사들에게 가장 궁금한 점은 아마 완치의 여부와 기간일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공황 이전의 자신으로 돌아갈수는 없다.
공황장애는 재발 확률이 매우 높으며 완치란 공황을 경험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두려워하지 않는 거라고
보기 때문이다.

거지같지만 평생 안고 가야할 가능성이 많으니 감기와 같다고 생각하면 좋다.
언제 올지도 모르지만 또 언젠간 간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