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 카레니나 세트 - 전3권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박형규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은 도끼다.’를 쓴 박웅현 작가는 취업 준비 대신 안나 카레니나를 읽는 걸 선택했다고 한다. 과거를 돌아보았을 때, 그 때 결정은 잘했다며 회상한다. 안나 카레니나에 대한 말은 많이 있었지만 이 책을 제대로 다 읽은 사람은 얼마나 될까? 나도 읽지 않은 채 대충 내용만으로 안다고 생각했던 한 사람이었다. 그런 내가 장장 한 달에 걸쳐 안나 카레니나를 읽었다. 천천히 씹으며 책을 읽었다. 각 챕터마다 내용을 요약하거나 인상 깊은 구절을 적어놓기도 했다. 그러다 3권에 이르러서 온 등장인물이 가진 감정에 휩쓸려 더 이상 쓰거나 정리하기를 포기했다. 읽고자 하는 욕망이 정리에 대한 결벽을 이겼다.

 

 

벌써 100년이 지난 책이다. 그럼에도 이 책 안에 모든 인물은 살아 움직인다. 안나 카레니나 뿐 아니라 그 남편, 오빠, 불륜 상대였던 브론스키, 새언니이자 친한 친구였던 돌리까지. 이들은 러시아가 아닌 바로 내 옆에서 살아 움직이는 사람 같다. 어쩌면 이 세계를 작게 축소시켜 놓은 게 이 소설이 아닐까 생각할 정도다.

 

 

처음 나는 다른 사람과 사랑에 빠진 안나 카레니나라는 인물에 대해 강한 혐오를 갖고 있었다. 마치 김민희와 홍상수를 보는 눈과 같았다. 안락한 가정을 버리고 떠난 여성을 보며 당연히 그들은 벌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작가가 주인공을 사랑해서였을까? 그가 그린 안나 카레니나를 보면 그녀가 왜 그런 선택을 해야만 했는지, 왜 고뇌하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이게 바로 서사의 힘이란 생각이 들었다. 답답하고 고지식한 남편에게 지친 안나. 자신 감정을 이해해줄 뿐 아니라 모든 걸 다 가진 남자에게 마음이 가지 않는 여성이 어디 있으랴.

 

 

장장 세 권에 걸친 책이지만 이 책 첫 문장이 모든 내용을 대신한다. 행복한 가정은 비슷해 보이지만 불행한 가정 모습은 제각각이란. 반대로 말하면 이런 뜻이 아닐까? 멀리서 보면 많은 가정이 행복해 보이지만 달리 보면 다 나름대로 어려움을 안고 살아간다. 사실 이 책에 나오는 가정 중 고민과 걱정이 없는 가정은 하나도 없다. 우여곡절 끝에 결혼해 아이를 낳아 잘 지내는 레빈과 키티 커플조차 작은 위기가 계속된다.

 

 

세상 모든 존재는 각자 문제를 안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가진 문제가 사소해 보였다. 정작 겪고 있는 내 자신은 누구보다 괴롭고 힘들지만 누군가에게는 그저 비슷한 행복한사람으로 느껴질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들었다.

 

 

내가 용서할 수 없는 죄는 무엇인가? 아무것도 없다. 위에서 보면 나는 그저 한 평생 살다 지나가는 뜨내기일 뿐이다. 내가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었다면 나도 언젠가 상처받는 일이 생긴다. 그 당연한 법칙을 물 흐르듯 등장인물들이 살아나가는 세월을 통해 보여준다.

 

 

새 해 첫 책으로 안나 카레니나를 선택했다. 이 선택에 후회는 없다. 문학을 우습게 봤던 지난날을 반성한다. 문학은 현실에서 말할 수 없는 진리를 설명이 아닌 상황을 통해 깨닫게 한다. 수동적인 깨우침이 아닌 자발적이고도 체험적인 습득이다. 올 해 나는 더욱 문학을 많이 읽으려 한다. 그리고 미흡하나마 습작을 많이 쓰고 싶다. 이는 남에게 인정받기 위해서가 아니다. 그저 흘러 지나갈 내 인생에 대해 그냥 흘려버리지 않고 조금이라도 그 흐름을 기록하고 싶다.

 

 

내 습작은 어떤 다름 삶을 향해 나아갈까? 이 글은 어쩐지 잘 쓰여 지지 않는다. 쓸 게 없다기 보다는 너무 쓸 것이 많아 손가락이 굳었다. 머릿속에서 울고 있는 이 많은 생각을 어떻게 이 흰 도화지에 채울지 걱정이다.

아니다, 걱정은 금물이다. 시간이란 종이에 그저 담담히 사실을 적어나갈 것이다. 그게 내 목표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1-06 09:0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1-06 11: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stella.K 2018-01-06 13:5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새해 이런 묵직한 작품을 읽으셔서
왠지 꿀꿀이님 출발이 좋을 듯 합니다.
사실 저도 책으로는 못 읽고 영화로는 봤는데
괜히 영화로 봤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영화는 되게 여성 비하적으로 그랬거든요.
설마 톨스토이 옹이 그럴리가...?
물론 당대 여성의 삶을 그리려고 노력했겠지만 솔직히 보고 나서
기분은 안 좋았습니다.ㅋ

아직도 읽지 않은 고전이 그리도 많은데
언제 다 읽을지 모르겠습니다.
저도 조만간 이 작품을 읽어봐야겠습니다.
님의 꿈을 응원합니다. 홧팅!!

책한엄마 2018-01-06 17:08   좋아요 1 | URL
제가 이 책을 읽고 끌리듯 읽은 책이 ˝정희진처럼 읽기˝였어요.
진짜 원본 그대로 읽으면 여성 비하적인 부분이 전혀 없어요.
오히려 안나는 톨스토이 분신이란 느낌이 강하게 들어요.
만약 톨스토이가 여성으로 태어났다면 어땠을까?에 대한 의문에 답한 책이란 생각을 했거든요.
그 당시 사회 상황과 함께 여성으로서 자아를 가진 톨옹이 어떤 결말을 내릴지에 대한 답인 것 같아요.능력있고 지혜로워도 결국은 남성에게 구속될 수 밖에 없는 사회상을 처절하게 보여준 것 같아요.왜 브론스키에게 집착했는지 납득할 수 있었어요.

전 표면만 보고 섣부르게 작품을 판단 한 것 같아 반성했습니다.^^
다시 또 읽어보고 싶어요.

스텔라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열심히 읽고 흔적 남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