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동 인사이트 - 세계의 판도가 바뀐다
이세형 지음 / 들녘 / 2024년 1월
평점 :

중동 인사이트 : 세계의 판도가 바뀐다 - 이세형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2월에 수입되기로 한 원재료가 있었다. 이제 3월이 되었지만 2월 말에 들어온 소식은 3월초가 3월 중순이 되고, 이제 더없이 연기될 예정이라는 수입사의 메일이었다. 그걸 또 보고해야 하는 것을 생각하니 머리가 지끈거렸다. 이게 다 멀게만 생각되던 <중동>의 이스라엘-팔레스테인 전쟁 때문이 아니던가. 세계의 지역이슈가 생기면 물류도 대란이 온다. 홍해를 좀 지나가게 해줬으면..아직도 중동으니 세계의 화약고이다. 그게 또 인플레이션을 일으키고, 지구촌을 유심히 봐야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책은 중동의 여러 나라들과 정치, 경제, 산업, 문화 등 다양한 부분을 아우르고 있다. 중동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기에 충분하다. 사진자료도 최근 직접 취재한 본인이 직접 찍은 생생한 컬러본이라 보는 재미가 있었다.
먼저 중동은 지역적으로 나눈 개념이다. 아랍은 아랍어를 쓰는 문화권의 나라들, 아랍연맹 22개국가를 아랍국가, 또는 아랍권이라 부른다. 22개 나라 중에는 ‘중동’에 있지 않은 아프리카 나라들이 있다. 수단, 모로코, 알제리가 그렇다. 그리고 아랍연맹에는 이스라엘과 이란은 없다. 이란과 이스라엘은 국민 다수가 이슬람을 믿지만 아랍어는 쓰지않고 자국의 언어를 사용한다. 처음 시작의 개념부터 정립해주었다. 흔히 중동과 아랍을 같은 느낌으로 사용했었는데 이제는 분리해 볼 수 있겠다.
내가 신기하게 보았던 것은 카타르에서 미국 명문대를 유치해서 만든 <에듀케이션 시티>가 있다는 사실이었다. 자금유치와 환경을 제공하고, 카타르 국적자를 반 이상 받아들이는 미국대학과의 윈윈 전략이다. 미국대학은 중동이슈를 중동에서 연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를 통해 중동지역의 다른 여학생들도 같은 문화권인 카타르로 유학을 올 수 있게 되면서 많은 인재배출이 되고있다고 한다. 읽다가 놀랐던 사우디아라비아의 여성운전 가능시기가 2018년인 것을 보고, 사람의 이동권을 이다지도 제한하는 일이 2020년에도 이뤄지고 있었구나 하고 알았다. 교육을 통해 일어나는 연쇄적인 선순환과 혁신이 어서 더 불었으면 한다.
사막이라하면 모래땅만을 생각했는데, 중동지역에서도 스마트 농업과 축산업에 대한 연구와 산업시설이 한창이다. 카타르 수도 도하에서 30분만 가면 <발라드나 목장>이 있다. 초원에서 풀을 뜯는 대신 최첨단 시설안에서 생활한다. 무려 온도,습도, 환기를 자동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작동중이다. 이는 카타르 단교사태 때문에 유제품을 비롯 식량안보에 문제가 생겨 생겨났다고 한다. 세상을 보면 언제나 무역을 순탄히 하는것 같다가도 수가 틀리면 먹는것, 움직이는것(석유), 다량의 이자들로 사람들의 숨통을 조인다. 유제품 이외에도 이스라엘 히브리대에서 처음 개발된 <방울토마토>등의 사례를 들으며 척박한 곳에서의 스마트농업이 훨씬 더 간절하구나 하고 생각했다.
최근 우리 기업들의 관심을 받는 사우디아라비아 네옴 프로젝트는 크게 세 가지이다. 트로제냐는 관광 레저 도시, 더 라인은 주거와 업무 도시, 옥사곤은 산업 도시이다.
중동에 대한 궁금증이 있다면 최신 자료는 중동인사이트에서 확인해보면 최근 10년간의 흐름을 잘 알 수 있을것이라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