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대욕망 - 알파에서 베이비부머까지 데이터로 읽어낸 욕망의 방향
대홍기획 데이터인사이트팀 외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4년 3월
평점 :

세대욕망 - 대홍기획 데이터인사이트팀 , 강승혜 , 이수진 , 채수정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광고라는 것은 사람의 소비욕구를 건드리는 첨예한 분야다. 내가 매일 드나드는 사이트에서, 텔레비전에서, 옥외 거리마다 광고가 걸려있다. 그런데 그 중에서 내가 사는 것은 무엇일까. 내 나이 또래의 사람들이 하는 소비는 어떤 분야일지 궁금해본 적이 없는가. 이번 달은 개인적인 일이 많아서 엄청나게 소비욕을 불태운 달이었다. 그러면서 나는 어떤 소비를 하는 X세대인지 따져봤는데 향유하는 소비와 자기 향상 소비를 많이 하는 사람이었다. 생각보다 대비하는 소비나 의식있는 소비에는 좀 관심이 없는 편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책은 세대별로 7가지 소비 동기를 찾아보고 각세대별로 강한 소비 동기가 무엇인지 알아본다. 각 세대를 Z(1996~2009), M(1980~1995),α(M 세대의 자녀, 2010~), X(1970~1979), BB(베이비부머 1955~1969), 10대에서 60대 후반까지로 분류했다. 물론 나처럼 X세대와 M세대의 중간에 낀 사람들은 시간의 연속 성 때문에 M세대의 영향 일부와 X세대의 일부 영향을 받는다. 어떨 때 생각하면 나도 엑스세대의 꼬리칸인 것도 같고, 엠세대의 머리칸인 것도 같다. 확실히 엑스세대와 엠세대는 밀레니엄을 기준으로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어느 정도 겪었는지에 따라 또 많이 다르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외환위기를 학생 때 겪었는지 사회 초년생인지, 초등학생인지 그런 것에 따라서도 다 다르다.
물론 책을 읽으며 제일 궁금했던 것은 <알파세대>였다. 2010년 이후 출생한 세대이기 때문에 이전 세대들과 달리 디지털 이전 세상을 경험해본 적이 없다. 베이비부머 세대가 아날로그 네이티브라면 알파세대는 디지털 네이티브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z세대보다 훨씬 적은 인구수이다. 따라서 물질이 충족된 결과 욕망이 없는 세대가 탄생해버렸다는 것이다. 지금 어린 조카들을 생각해보라 집에 유일한 왕자와 공주로 키워지며, 경제활동을 하는 많은 사람들이 그들에게 물질적으로 집중하게 되었단다. 그래서 최근 명품브랜드들의 키즈시장이 엄청나게 호황을 누리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드라마 <더 글로리>에서 예솔이 퍼스트 구찌를 운운하는 대사가 확실히 현실 고증이었던 셈이다.
그 다음으로 궁금했던 세대는 Z세대였다. 이전 세대들과 달리 개도국이 아닌 선진국에서 청소년기와 청년기를 보내는 세대다. 실은 우리나라가 선진국이 되었다는 자각이 별로 없었는데, 이들 세대에서 볼 때는 너무나 당연한 일이어서 또 공기처럼 느껴지지 않을까 한다. 밀레니얼 세대의 엄빠랑과 Z세대의 엄빠랑을 보면서 심히 충격 받았다. 나 역시도 <엄빠랑>이라면 효도에 가까운 이미지를 느끼는데, Z세대들은 확실히 부모님과의 시간이나 대화가 자연스럽고 가깝게 느껴진다고 한다. Z세대들은 확실히 변화와 재미를 추구하며 <핫플레이스>에 대한 관심이 높다. 새로운 물건을 사면서도 <되팔기>에 대한 생각도 가지고 있고, 중고거래에 대한 거리낌이 없다. 새로운 경험의 충족이라면 팝업스토어에 대한 민감도도 높은 편이다.
여러 세대들의 욕망의 순위를 보면서, 생각보다 문화와 덕질에 대한 시장이 커졌구나를 또 느낄 수 있었다. 언제나 연결되어 있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구별하는 것이 의미 없는 삶을 사는 세대와 같이 있다는 것에서도 강한 충격이었다. 퇴근만 하면 <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부르짖는 나 같은 X세대에게는 언제나 온라인이고, 온라인 친구도 당연히 베프가 될 수 있는 사람들을 온전히 이해할 수 있을까에 대한 간극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