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MZ세대 트렌드 코드 - 90년생의 뇌구조.문화.트렌드
고광열 지음 / 밀리언서재 / 2021년 3월
평점 :

00년생이 온다! 90 부터 00 까지 : MZ세대 트렌드 코드 - 고광열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새로운 세대와의 갈등은 늘 있어왔다. X세대의 끝물로 자란 나는 약간은 책에서 말한 밀레니얼세대 (81년~95년생)와 겹치기도 하는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낀세대다. 지금 내 나이의 관리자가 대리급으로 만나는 직원들이 90년대생이다 무려 90년대생이 벌써 서른을 넘겼다. 유명했던 90년대생을 이해해보자는 책 <90년대생이 온다>도 있듯이 벌써 세대는 90년대생을 넘어 00년생의 성장을 바라보고 있다.
책에서 말하는 MZ세대란 밀레니얼 세대(이하 M) 이후 태어난 1996년 이후 출생한 세대(이하 Z)를 그룹화 해서 나타낸 것이다. 밀레니얼 세대는 유년기에 IMF를 겪었고, 공무원 시험으로 정년과 워라밸을 중요시한다. Z세대는 태어날때부터 디지털시대였으며, 그래서 아날로그에 대한 향수가 별로 없다. 최근 코로나로 온라인 수업을 한 학생들 중에서 초등 저학년의 경우에는 워낙 태어날 때부터 디지털로 원격수업이나 인강, 써칭에 익숙하게 지내서 큰 불편함이 없었다고 교육종사자에게 들었다. 심지어 종이책에 대한 필요도도 낮아서 전자기기를 더 선호한단다.
이 책의 작가도 밀레니얼 세대인 92년생으로, 이미 기성세대가 되어버린 내가 보기에 새로운 경향이나 시류 등을 정확히 알려주는 점이 좋았다. 이미 꼰대가 된 작가가 아니라 내 주위 사람들은 이렇다 라는 이야기와 함께 적절한 통계수치를 통해서 많은 설득력을 이끌어 낸다.
책은 총 5파트로 나누어져 있고, 90년생을 기준으로 한다. 90년생의 정체는 무엇인지에서는 회사에서 많이 부딪혔던 워라밸을 찾으려는 이유와 공짜 야근을 시킬려면, 회사에 불복종하는 이 세대만의 이유를 알 수 있었다. 이 책의 예제와 비슷하게 언젠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이거 부하직원에게 말할까 말까를 논하는 문제가 있었다. 출근시간은 9시, 업무 시작전 최소 10분전 출근을 안지키는 부하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내 생각에는 업무를 9시에 시작하기 위해서는 여유시간이 있어야 맞지않나 싶었는데, 요즘 사람들은 업무 준비시간까지 내 연봉을 받는 시간으로 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8시 59분 출근도 전혀 문제가 없다는 반응이며, 10분전에 오지 않는다는 말로 훈계를 한다면 그것이 꼰대라는 것이 대세였다. (이 얘기를 최서 6~7년 전에 들은 것 같은데, 아직도 사람들의 반응을 처음 봤을 때 내가 꼰대가 되었다는 것을 인정할수 없어서 매우 충격과 공포였다. ) 이는, 이 세대는 안정성을 중요시 하는데, 기회는 부재 되있고, 이는 자칫하면 포기로 이어진다. 따라서 최소한의 노력으로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하면서 살고, 미래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기보다는, 욜로처럼 현재에 집중하는 특성을 갖게 되었다.
2파트 90년생의 뇌구조에서는 스트리밍이나, 인터넷 방송등을 향유하는 것이 지극히 보편적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많이 있었다. 본인이 돈을 벌기위해 시작하는 사람도 많고, 이들과 소통하는 사람들도 엄청나다. 구독경제와 돈이 아니더라도 지인들과의 소규모 대화도 온라인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최근 웹툰에서 친구들과 온라인 모임방을 개설해서 각자 집에서 삶을 공유하는 에피소드도 봤는데, 꼭 팬과 유튜버의 관계가 아니더라도 자연스럽게 방송을 생산하거나 소비한다.
이후 90년대생이 사고, 파는 것에 대한 파트도 많이 읽어볼만한 이슈가 있었다. 비싸도 편리하면 사고, 브랜드보단 인플루언서 마켓에서 믿고 구매하고, 나를 위한 가심비 좋은 플렉스를 즐기는 것이다. 90년대생의 트렌트 전파력을 기반하여 기성세대들에게 흡수될 수 있도록 마켓의 믹스를 하는 부분도 언급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90년대생이 일하는 방법과 마인드에 대해서 심도깊이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어서 90년대생 이후의 사람들과 많이 일하는 중간관리직과 인사관련 업무 담당자가 읽으면 업무에 많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꼭 업종이 아니더라도 요새 젊은 사람들은 왜그럴까? 하는 꼰대력 만렙의 질문이 꼬리를 물고 있다면 이 책에서 시원한 답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