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틴어 격언집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ㅣ 잘난 척 인문학
김대웅.임경민 지음 / 노마드 / 2021년 5월
평점 :

카르페 디엠(Carpe diem)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라틴어 격언집 -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원작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제일 많이 알려지고, 사람들이 많이 쓰는 라틴어 격언이라고 하면 ‘카르페 디엠(Carpe diem)’이 아닐까 생각한다. ‘오늘을 즐겨라’ 라는 흥청망청한 기분의 말로 알고 있었다. 책에서는 ‘현재를 잡아라(오늘을 열심히 살아라)‘라는 뜻으로 알려주고, 원문도 알려주고 있다. 호라티우스의 <송가> 제1권 11절에서 유래된 말이다. 되도록 다음 번을 덜 믿고 오늘을 잡아라라는 뜻이다. (원문은 Carpe diem quam minimun credula postero)
이번에 읽게된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라틴어 격언집>은 그야말로 라틴어로 알려진 많은 격언들을 12개의 파트로 분리하여 방대하게 실어주고 있다.
1. 나를 부끄럽게 하는 것들 (시기심과 우둔함)
2. 찰난 척도 정도껏 (허세와 위선)
3. 오늘은 나에게, 내일은 당신에게 (사랑과 우정)
4. 가까이 있지만 깨닫지 못하는 (가족과 행복)
5. 처음은 항상 어렵다 (희망과 미래)
6. 없다, 그러나 있다 (신과 운명)
7. 간결하고 분명하게 (순리와 원칙)
8. 무슨일이든 지나치지 않게 (처세의 지혜와 분수)
9. 진퇴양난 ﹡ 절체절명의 순간에 (사리판단과 선택)
10. 팍스로마는 그들만의 평화 (통치와 권모술수)
11. 갈망하지만 얻기 쉽지 않은 (부와 거래)
12. 칼로 흥한자, 칼로 망하리라 (전쟁과 애국심)
이 책의 근간이 되는 에라스뮈스의 <아다지아>는 그리스로마의 철학자, 작가, 정치가 등의 명언들을 한데 모아 1500년 파리에서 <고전 격언집>이라는 제목으로 처음 선보였다. 이후 격언도 추가하고, 증보판을 거듭해 1536년까지 4,151개의 항목을 수록한 방대한 모음집이 된다. 이후 종교개혁때 가톨릭 신앙과 충돌한다. 그래서 종교적인 내용은 삭제지침이 적용된 아다지아가 1575년 발간되었다. 이후 다른 판형을 습득하는 일 자체가 금지되었다고 한다.
책의 내용에는 라틴어 발음을 일일이 표기하지는 않았으나(철자에 따라 발음이 일정하기 때문), 일부 고전라틴어와 교회라틴어의 발음이 다른경우는 부록에 발음을 병기해두었다.
부록(알아 두면 쓸모 있는 라틴어 관용구와 격언)을 읽으면서 라틴어 발음을 하는 법을 조금이나마 익히게 되었다. 다만, 이중모음이나 보지 못했던 글자들은 조금 어려웠다. 특히 Veritas lux mea(베리타스 룩스 메아) 라는 말은 많이 들어봤었는데, 진리는 나의 빛이라는 뜻으로 서울대의 모토라고 한다. 나의 경우는 법학원의 이름이 베리타스라서 알게되었던 적이 있다.
많은 영화를 보면, 영어권 국가의 사람들이 꽤나 격식있어 보이고자 할 때 라틴어 격언을 인용하고, 라틴어 수업을 어릴 때 듣던데, 아마도 이런 고전언어를 통해 유구한 선대의 지혜를 깨우치려는 뜻이 아닌가 싶다. 하지만 나는 단순히 진짜 알아두면 뽐낼만한 것이 있지 않을까 해서 얄팍한 지적호기심으로 읽었다. (뭔가 제목에서 뿜어져 나오는 타겟층이 바로 나야나) 책에서 읽은 몇가지 격언들로 뽐내기를 하며 마치려 한다. 골라온 격언들이 맘에 들기를 바란다.
걱정은 몸에 해롭다 (Cor ne edito)
- 근심걱정 때문에 마음 상하지 않도록 하라.
뭘 웃나, 이름만 바꾸면 당신 이야긴데 (Quid rides? motato nomine de te fabla narratur)
- 호라티우스의 풍자시집 1권에 나오는 말. 누가 어떤 사람을 흉보거나 험담을 늘어놓을 때 맞장구치는 사람에게 해 주는 말이다.
눈먼 자들의 나라에선 외눈박이가 왕이다 (In regione caecorum rex est luscus)
- 우화에서 주는 교훈. 흔히 어떤 사건이나 실재의 한쪽 측면만 보려고 하는 고정관념과 아집을 꼬집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