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육과정에 돌직구를 던져라
정성식 지음 / 에듀니티 / 2014년 11월
평점 :
이 책을 읽은
게 학기 시작 전 2월이었다. 학교를 옮기기 전 마음이 상당히
심란한 상태에서 책을 읽었다. 이전 학교에서 일 년 유예할 수도 있었지만, 혁신학교를 경험해 보고 싶어서 우대 점수를 믿고 지원했다. 업무
경감 시범학교부터 차근차근 혁신 학교 단계를 밟아가고 있는 듯 보였던 학교였고 지원자가 경쟁이 심할 정도로 많을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지난번 서평 이벤트에서 <혁신학교 2.0>을 신청해 읽은 것도 같은 맥락이었다. 그 학교 선생님과
연락하며 학교 분위기와 학년 배정을 알아보며 나는 어디에 위치할 것인가를 가늠하고 있었다. 떨어질 거라고는
생각지 않았는데, 막상 인사 발표가 나고 보니 나는 다른 우대자에 밀려 한 학교에 우대자를 한 명만
받는다는 규정에 따라 2지망에 썼던 학교에 발령이 나 있었다. 계획하고
생각했던 것들이 모두 틀어졌고, 새 학교 발령 뒤 영어 교담을 희망했었지만 나는 1학년 담임 교사에 학년 업무는 학년교육과정이 주어졌다.
이 책의 1장, 교육과정의 현실에 묘사된 현실이 그대로 나의 현실이 되었다. 8년만에 맡는 담임, 그 새 많이 바뀐 1학년 교육과정, 아는 사람 하나 없는 새 학교, 적응해야 할 것이 한 두가지가 아니었다. 막 입학해서 가뜩이나 긴장한
아이들만큼이나 나 역시 긴장 상태로 보낸 첫 2주, 아이들이
가고 나면 오후에는 몰아치는 각종 제출과 서류 업무가 기다리고 있었다. 그리고 학년 교육과정 작업이
시작되었다. 교육과정 작업을 맡아서 해 보는 건 처음이었다. 각
학년 교육과정 담당자들이 모여 전체 교육과정 담당교사의 설명과 반드시 맞춰 넣어야 하는 각종 시수와 가이드라인이 적힌 종이와 작년 교육과정 파일을
받았다. 다들 한 번쯤은 해 본 선생님들인지 별다른 질문도 없었다. 몇
장의 종이를 보며 막막했다. 도대체 어디서부터 뭘 어떻게 시작을 해야 하는 것인지… 다른 선생님들은 아는 당연한 것을 묻는 것 같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묻는 것조차 어려웠다.
작년 파일에서
교과 내용은 거의 그대로 두고 날짜와 시수를 맞추는데도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았다. 작업하면서 계속 이
책이 생각났다. 이런 거였군.. 교육과정이란 게… 한 학년 교육과정이 거의 100페이지에 달한다. 가뜩이나 바쁜 3월, 2주 정도의 기간에 다 되어야 하는 게 당연하게 여겨지는 분위기다. 앞부분의 시수가 중요하지 일 년 동안 잘 보지도 않는다고 한다. 3월에
하는 ‘행사’란다. 당연히
속에서 이런 질문이 올라온다. 책에서 제기한 같은 물음. 보지도
않을 걸 이 시간을 들여서 이렇게나 길게 왜 해야 하는가? 이 시수를 맞추고 창체 영역에 교육청 지침에
따른 OO교육을 몇 시간 맞추어 넣고, 비고란에 무슨 내용인지
전체 차시와 해당 차시를 표시하는 작업에서 진을 뺐다. 뭐가 이렇게나 많은지. 이걸 다 이 서류에 넣으면 다 한 게 되나? 우리 학교는 이 내용을
포함시켜 했다는 서류 증거를 남기기 위한 것 아닌가? 정작 그 내용들을 무엇을 가지고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빠진 채, 담당 교사만 며칠간을 죽어라 숫자 맞추기에 급급하여 만드는 문서가 들인
시간과 노력만큼의 의미가 있는 것인가? 이건 뭔가 문제가 있다.
그렇게 몇 날
며칠 잠 못 자며 했어도 시수와 지침대로 다 제대로 넣은 것인지 자신이 없었다. 결국 또 2주 정도의 시간이 걸려 수정하고 또 수정해야 했다. 주로 창체에 들어가야
한다는 그 수많은 OO교육 부분에서.. 그러다 결재 라인에서
교감샘의 반려로 또 수정을 해야 했다. 그렇게 하고 나서 내 입술엔 물집이 잡혔다. 그렇게 하고 나서도 내가 1학년 교육과정에 대해 잘 알게 되었느냐
그것도 아니다. 실제 교육과정 내용보다는 꼭 들어가야 한다는 OO교육이
시수에 맞게 들어갔는지, 주로 시수 맞추는 데 대부분의 시간이 쓰였다.
한 10년쯤 됐을까, 그 때도 시수 때문에 고생했던 기억은 나는데, 새삼 교육과정에 이렇게 많은 내용이 들어갔었던가 의아해졌다. 오랜만에
담임을 맡고, 또 학교 교육과정을 받아들고 보니 매우 촘촘하다. 틈이라곤
없어 보인다. 일 년 동안 끊임없이 이어지는 행사며 OO교육이며를
보다보니 숨이 막혀온다. 이게 솔직한 느낌이었다. 업무도
그렇고 교육과정도 그렇고 담임 교사가 재량껏 할 수 있는 여지는 아주 적어 보였다. 정해진 것을 따라가며
하기에도 벅차겠다.
그러고 나서 이
책을 다시 집어들었다. 저자인 정성식 선생님이 대단하다고 여겨진 부분은, 학교에서 담당자라면 누구나 다 어려움을 토로하지만 그렇다고 별다른 대안 제시도 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문제제기를
공식적으로 하고, 학교 선생님들과 관리자들을 설득해 실제로 교육과정을 실제 이루어지는 교육을 실천으로
옮기셨다는 것이다. 대단한 용기가 필요한 일이다. 책에는
생략하셨을지 모르나 준비 시간이나 기간도 많았을 것이다. 그냥 관행처럼 해 오던 교육과정 작업은 담당자만
며칠 (혹은 몇 달) 고생하는 일이니 다른 선생님들 입장에서는
괜히 일 하나를 더 만드는 것으로 보였을 수도 있었을 텐데, 한 분 한 분 만나 대화와 소통을 시도하셨다는
것 자체가 진정성과 용기가 없으면 할 수 없는 일이다.
공장의 분업 공정처럼
세분화된 학교 업무와 일정 속에서, 그리고 그걸 당연하게 여기는 분위기 속에서는 ‘왜?’라는 질문 자체가 불편할 때가 많다. ‘위에서 내려오는 것 하라는 것 하기에도 피곤한데 무슨?’ 이런
분위기랄까. 이제 새 학교에 막 와서, 이런 분위기도 겨우
파악하고 있는 처지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질문을 던져보고 이 책을 함께 읽어보자고 다른 선생님들께 제안하는 것 이 지금으로서는 멀게만 느껴진다. 수평적이고 민주적인 소통. 학교 실정에 맞는, 구성원들의 바람과 의견이 반영된 학교 교육과정은 이러한 소통의 기반 없이는 이루어지기 어려운 일이다. 좀 더 이 곳에 익숙해지게 되면 그런 질문과 제안을 던져볼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