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스케치 노트 스케치 노트
장 프랑수아 갈미슈 지음, 이주영 옮김 / 진선아트북 / 2013년 8월
평점 :
품절


 

나이가 들면서 유독 눈에 들어오는 것이 바로 집이다. 건축에 대해 잘 몰랐던 내 눈에도 멋진 집을 보면 살고 싶다는 생각보다는 그 안이 더 궁금하고 어떻게 만들었을까 하는 생각이 먼저 든다.

그러다 나도 그런 집을 짓고 싶다는 생각에 스케치를 해보려하면 헉~~ 바로 그림에 재주가 없슴에 서글퍼지고 만다. 그림 그리는 재주를 타고난 이들은 정말 쉬워 보일정도로 빠르게 그려내는데 난 그저 도전조차 못해보고 포기하게 된다.

단지 자신있는 그림은 포스터.... 글씨 도안은 그래도 하겠는데 풍경을 그리는것 만큼 어려운 것은 없다. 나에겐 그렇다. 그런 나같은 이들에게 정말 유용하다 해야할까?

건축 스케치 노트는 나의 목마름을 채워주웠다. 그렇다고 다 읽고난 지금은 잘 그린다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연습조차 해볼수 있겠끔 자신감은 준다.

 

 


 

모든 것이 그러하듯 건축 스케치 역시 법칙이 있었다. 도시를 그릴때 쓰는 재료부터 그리는 방법까지 두루 다양하게 일러주는 책속에서 아~~ 하는 소리가 절로 나왔다.

같은 장소여도 다양한 각도를 살려서 여러장의 크로키를 한 다음 그림을 그린 장소와 빛, 바람, 분위기에 대한것까지 느낌을 살려 그린단다.

시야의 개념을 보니 건축스케치 역시 수학과 연계됨을 알게 되었다. 마치 축소를 배우는듯...

 

 

시야의 개념을 연필을 사용하면 더욱더 편리하단다. 그래서 미술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연필을 들고 째려보듯 한 모양이다. ㅎㅎㅎ

 

 

건축 스케치를 보니 모든 것을 다 그릴필요가 없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건축스케치인 만큼 건축에 대한 지식도 필요하다. 세계 유명한 건축물들을 보니 직접 보고픈 마음이 한가득...

건축스케치하면 그냥 멋진 그림을 그리나보다 했는데 주택의 구조, 재료를 보다보면 시대적 사회적, 문화적 배경이 모두 내포되어 있다. 건축의 묘미에 더욱더 빠져든다.

채색역시 중요함에 역시 미술가를 따라 갈려면 아직 멀은것 같다.

 

오랜시간 동안 버티어 온 건축물들을 그림으로 표현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러함에 이 정도의 정성을 쏟아내야함은 당연하다고 본다. 이제 여행함에 건축물을 볼때 그저 본것으로 만족하지 않고 그 건축이 담고있는 시대를 읽을줄 알아야겠다. 원근법의 자세한 설명을 들으니 얼릉 연필을 잡고 그려보고 싶다. 아~~ 과연 얼마의 시간이 지나야 이렇게 그릴까? 부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