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의 신, 바보 CEO 되다 - 공신 강성태의 다른 선택, 다른 성공 이야기
강성태 지음 / 쌤앤파커스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른들은 항상 말씀 하셨다.

공부해서 남주냐고... 난 말했다.

선생님되면 남 주는거 아니냐고....

그랬던 난 선생님이 되질 못했다. ㅎㅎㅎ

대신 울딸 둘이나 선생님이 되는 꿈을 안고 산다.

"엄마! 선생님이 되려면 어느 대학에 가야 하나요?"

" 음...우선 초등학교 선생님은 교대를 가야하고 중.고등학교 선생님은 교육학과를 나와야지. 그리고 나선 교원자격증을 따야되."

" 그럼 꼭 서울대 안가도 되겠네?"

"...... --;;"

내 마음 깊은 곳에서는 '아니 서울대 가도 괜찮아'하고 싶었다. 누구나 갈망하는 서울대.

그러한 서울대를 다녔지만 정작 자신의 꿈을 못찾은 바보가 있었다.

바로 공신 강성태이다.

아니 그는 서울대를 가서야 꿈을 찾았다. 그것도 서울대라는 스펙이 전혀 필요없는...아니다. 서울대이기 때문에 더 통했을지도 모를 사업이다.

우리나라에선 서울대 들어갔다하면 와~~할 정도로 상위 1%들이 모이는 곳이다.

그러한 곳을 저자는 들어갔지만 서울대에 적응하지 못했다. 학점은 바닥을 치고 자신이 왜 거기에 있는지 조차 알지 못했다.

그러다 깨닫게 된 것이 공부에 대한 노하우 전파이다. 그러한 생각이 크게 퍼져 공신이란 말이 생겨날 정도이다. 원래 공신이란 '공부를 신나게'란 뜻이란다. 그것이 잘못 전파되어 '공부의 신'이 되어 버렸단다. 나도 공부의 신으로 알고 있었으니 공중파의 파급 효과가 이렇게 크게 번진것이다. 출판업계나 서점가에서도 공신에 대한 것을 많이 만나보았다. 이 모든것이 저자와는 별개의 것이였다니... 아쉽기 그지없다.

우리나라에선 뭐 하나 잘 되나 싶으면 여기 저기 헤집고 들어오는 통에 처음의 시도와는 다르게 빗나가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강성태 저자 역시 그 어려움을 모두 겪었었다. 책을 읽어보지 않았따면 강성태란 인물은 탄탄대로를 겪은 인물로만 판단했을 것이다. 그리도 돈 또한 떼돈을 벌었을거라고 착각하고 있었을 것이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공부비결을 전파하기 위해 애를 쓴 흔적이 여기저기 남겨지고 있다.

공신닷컴을 통해 울아들에게도 노트필기 요법을 강의듣게 했다. 세가지 색깔을 가지고 아들도 활용하고는 있었지만 이렇게 세세하게 가르쳐 준곳은 없었다는 아들의 평이다.

10억을 마다한 강성태. 감히 마다하기 힘든 돈이였는데도 불구하고 자신의 신념을 깨지않은 사나이. 그러한 정신이 강성태를 지금의 CEO로 만들었는지도 모른다.

 

'꿈'이라는 별이 모이면 '기적'이라는 은하수가 된다.

 

공부가 신나는 세상에 도전한 한 남자에 의해 여러명이 모이고 그들은 또 다른 여러명을 위한 남주는 공부를 시작했다. 과연 공부가 신나는 세상은 올까?

그들이 주는 노하우를 통한다면 그 기적은 일어나리라 생각된다.

우리가 몰랐던 상위 1%들만이 누렸던 그 비법을 이제 우리도 공부할수 있게 되었다.

바로 강성태란 인물 덕분이다.

이제 우리 꿈은 달라질 것이다.

어느 대학이 목표가 아닌 어떠한 사람이 되겠다는 것으로 말이다.

공부는 원래 남 주려고 하는 것이라는 강성태 저자처럼 울 아이들 역시 공부해서 남 주는 선생님이 되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