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함께 보면 아이의 숨은 마음이 보인다
차승민 지음 / 전나무숲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려서부터 영화를 너무 너무 좋아했다. 방학때이면 그동안 보지 못했던 비디오를 빌려서 하루종일 본적도 있었다. 그러한 영향인지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보니 이젠 세아이와 함께 영화를 즐긴다. 요즘엔 가끔 남편과 둘이가는 시간도 생겼지만 말이다. 울아이들이 이 엄마에 대해 제일 불만을 갖지 않고 행복해 하는 것중 하나가 바로 영화이다. 극장은 자주 가질 못하지만 인터넷으로 다운받아서 보여주는 영화를 헤아린다면 거짓말 조금 보태서 아이들이 볼수 있는 영화는 거의 보지 않을까 한다. 이미 지나간 영화여도 아이들이 밖에서 제목을 알아오면 어김없이 보여준다. 책뿐만 아니라 영상으로도 많은 간접 체험을 할수있기에 보여주게된 영화감상.

 

그러한 영화로 아이의 숨은 마음을 읽을수 있다니...가끔 영화를 보면서 아이들은 저 상황에서 무슨 생각을 할까 하고 이야기를 나눠보지만 별다른 느낌까지는 못 받았는데...

여기 초등학교 교사이신 차승민선생님은 영화수업을 통해 아이와 소통을 나누셨단다. 내가 원하던 학습방법을 지닌 선생님인데...울아이들이 만나지 못함이 아쉽다.

 

선생님 말처럼 영화보는 시간에는 아이들의 다른 집중력에 비할수 없는 집중력이 나옴을 알수있다. 하루종일 재잘거림으로 시끄럽게 떠들던 막둥이도 영화볼때 자신이 조금이라도 좋아하는 영상이면 질문을 해서 그렇지 집중을 하면서 영화내용을 이해하고 있슴을 알수있다. 책쪽 일을 하고 계신분들이라면 이말에 찬성할까? '잘 본 영화 1편이 책 100권보다 낫다'

영화를 보면 읽기 능력을 키울수 있고, 공감대를 통해 자존감을 높일수 있고, 표현력과 도덕성이 자라며 통합적, 창의적 문제 해결력이 자란다고 한다. 하지만 이 역시 영화감상으로 끝을 맺는것이 아니라 그 후의 활동이 중요함을 알았다. 토론형식으로 이어지는 아이들의 질문과 대답속에서

선생님은 아이의 마음과 생활환경까지 파악하신 것이다.

어른뿐 아니라 아이 역시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만 대답하기 때문에 대답속에서 쉽게 성격이 나오리라. 너무 학습에 취중되어버린 공교육 속에서 이러한 색다른 방법으로 아이들과 소통할수 있다면 정말 좋겠다란 생각이 들었다.

 

책속에서는 영화감상법을 비롯한 사춘기 아이에 대해 대처하는 방법까지 일러주고 계신다. 영화 치료 수업의 실제 기록 예시를 살펴보니 한아이를 이렇게 관찰하기 위해 얼마나 애를 쓰셨는지 알수있었다. 사춘기 아이를 대함에 주변 부보들 역시 무섭다는 표현을 먼저 쓸 정도로 어떻게 대처해야할지 막막했는데 좋은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어서 읽으면서 아이의 마음을 조금씩 이해해갔다. 여전히 글쓰기를 싫어하는 울아이들이 영화를 보고 기록으로 남기면 더욱 좋겠지만 이제 많은 대화라도 나눠보려한다. 영화를 보여줌에 어떻게 골라야할지도 궁금했는데 세세하게 잘 일러주신다. 부록으로 난이도별 영화 목록53 & 지도가이드도 있으니 참고하면 좋을듯 싶다.

 

울아이들이 영화를 참 많이 보았다 생각했는데 조금 지난 영화들을 소개해 주어서 그런지 반정도는 아직 못본 영화들이다. 이제 영화를 감상함에 아이에게 질문을 던져봐야겠다.

"넌 어떻게 생각해?", "너라면 어떻게 하겠니?", "왜 그렇게 생각해"라고 말이다.

국어교과서에도 영화나 드라마 장면이 나오는것으로 알고 있다. 이젠 이런 색다른 교육방식을 모든 아이들이 만나보길 바래보며 아이들과 함께 웃고, 울고 이야기를 나눌수 있는 좋은 영화들이 많이 나오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