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들이 만든 수학퍼즐 19 - 본편, 에라토스테네스가 만든 소인수분해 천재들이 만든 수학퍼즐 19
김종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재들이 만든 수학퍼즐 19번 에라토스테네스가 만든 소인수분해이다.

중학교 다닐적 참 많이 소인수분해를 한것 같다. 어느 문제나 소인수분해가 기초가 아니였나 생각된다. 요즘 중2에 올라가는 아들이 한참 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개념없이 식만 외우려드는 아들.

이책을 읽고 나더니 이제 조금 이해가 간단다. 하긴 100% 이해를 했다면 거짓말일거라 했을것이다. ㅎㅎ

초등과정에서 수학 자신감을 갖던 아이가 중학과정에서 자신감을 잃었을 경우는 거의 대부분 수학에 대한 개념 부족이란다. 실수라고 느꼈던 실수였을 거라고 믿고 싶었던 틀려오는 문제를 잘 살펴보면 대부분 개념도 모르는데 무작정 풀려고 했던 흔적이란다.

그러함에 더더욱 천재들이 만든 수학퍼즐은 꼭 읽어둬야 할 책인것 같다.

수학퍼즐은 색감도 예뻐서 거부감이 들지 않는 재미있는 수학책이다.


 소인수 분해는 사진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등 5학년때 배우는 약수와 배수부터 연계된다.

약수와 배수부터 함수까지 배우는 것만 보아도 수학의 기초라 할수있다.


 역시 약수와 배수를 배우기 위해선 숫자에 대한 역사부터 알아야한다.

수메르인들이 사용했다는 숫자. 수의 기원을 읽으니 역사공부하는 느낌이다.

사람들이 살아감에 숫자가 절실히 필요했으리라.....

그림으로 나타내었던 수에 한계를 느껴 숫자로 나타내기 시작했다.

아라비아 숫자와 이집트 숫자를 비교해 보는 것도 흥미롭다. 그것에 비하면 우리나라는 너무 쉽게 거져 먹은것이 아닌지... ㅎㅎㅎ 

바빌로니아인들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60진법을 사용했다. 그것이 발달하여 요즘에는 10진법, 2진법, 5진법을 사용한다. 더 발달해서 원주율을 나타내는 파이가 생겨나고 이차 방정식까지 나오게 된다. 

숫자는 알면 알수록 신기하다. 무심코 지나쳤을 숫자. 그냥 생김 그대로 있으니 그렇게 불렀으니 자연스레 부르고 있는 숫자지만 정작 어떻게 생겨나고 왜 사용하는지에 대해선 알려고 하지 않은것 같다. 

수학에서 항상 빠지지 않는 '0'

아직도 이 '0'에 대한 것을 연구하고 있다하니 사람들은 머리는 어디까지 연구할수 있을까? 

초등 5학년들이 수학 첫단원부터 헷갈려 했던 부분이 최대공약수, 최소 공배수 일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도 소인수 분해만 안다면 손쉽게 계산할수 있다는 것...

계산식을 아래로 쭈~~욱 나눗셈처럼 나열해야만 했던 것도 간단한 식 하나면 끝.

이제 6학년 올라가는 딸아이가 배우는 소수를 보니 분수를 딱 보았을때 소수로 나타낼수 있는 분수인지, 분수로 계산해야할 식인지 분간할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좋겠다란 생각이 들었다.

그 해답은 소인수 분해에 있었다. 

소수와 합성수는 약수와 배수 그리고 소인수분해에서 중요하게 쓰였던 것이다.

천재들이 만든 수학퍼즐 익히기에 초급, 중급, 고급의 문제들이 수록되어 있으니 꼭 함께 장만하라 권하고 싶다.

책이 이렇게 수학과 수학익히기로 나온것도 수학퍼즐의 장점이라 할수있다.

소인수 분해.

수학의 기초인만큼 꼭 알고 넘어가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