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위의 아이들 청소년문학 보물창고 26
브록 콜 지음, 최지현 옮김 / 보물창고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책을 읽는 내내 답답함을 느꼈다. 아이들 문학은 왜이리 답답함 투성일까? 아이들은 원래 그렇다라는 것을 내가 깨닫지 못하는 걸까? 어른중에도 아직 어른으로 성숙하지 못한이가 있듯이 아직 십대의 아이들은 그저 아이인데 너무 그들에게 어른스러움을 바랬던건 아닐까 생각한다.

그래도 책속에 나오는 아이들이 두아이에게 한 행동은 그저 아이다운 장난으로 보기에는 너무나 심한 행동들이였다. 소년과 소녀는 캠프에서 다른 아이들과 어울리지 못한다는 이유로 한편으론 왕따여서 캠프장과 떨어져있는 무인도에 속옷까지 모두 벗겨진 상태로 하루를 방치하게 된다. 캠프장의 전통으로 여겨지는 이 행동을 관계자들마저 헛웃음으로 넘기려 하는데...

처음 소년이 당했을때는 무인도에 혼자인줄 알았다. 어둠속 낡은 텐트 플랫폼(텐트를 칠수 있도록 마련된 장치)에서 소녀를 만나기 전까지는 말이다. 소년과 소녀는 신들에게 제물로 올려지는 고트라고 아이들은 말했다. 책의 후반에 가서야 소년의 이름을 알수 있었다. 작가는 왜 아이들 이름을 처음부터 밝히지 않았을까? 소년과 소녀로 읽어지는 묘미가 내용을 더 심화있게 이끌어 갔는지 모른다. 소년과 소녀는 무인도를 탈출하는데 성공한다. 소년의 부모는 고고학자로 통화하기 어렵고 소년은 엄마와 통화가 되지만 자세한 이야기를 듣지 않은 상태에서 캠프에 적응을 잘 못한다며 바쁘다는 핑계와 함께 데릴러 오는 것을 꺼려한다. 두 아이는 그때부터 길 위의 아이들이 되고 만다. 추운 날씨에 빈집에 들어가 자게 되면서 옷과 돈을 훔치면서도 아이들은 마음속으로 꼭 값을거고 빌리는 거라는 식의 자기 암시를 한다. 거리를 헤메면서 겪었을 아이들의 두려움 따위는 아무도 생각하는이가 없었다. 읽는 나도 중간쯤 가서는 비행 청소년으로 접어드는 그들이 안타까우면서도 어른 두 녀석이 넘지 말아야할 선을 넘는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으로 바라보았던것 같다.

참 내 내면에도 부정적인 시각이 아직도 남아있으니...

다행히도 그들은 순수한 어린아이에 불과했다. 계속 내 머리속에 남는 말이 열사람이 한사람 바보 만들기 정말 쉽구나이다. 옮기는 이의 말에도 있듯이 불편한 진실속 이야기가 참 사람을 불편하게 만들때가 한두번이 아니다. 여러 사람들이 행하면 왜 그것이 정당하게 여겨지는것인지...어떤 한사람이 행하는 것은 미친짓인지... 우리 모두 이책을 읽으면서 깨달아 할 부분이다.

두 소년과 소녀가 겪게 되는 길 위의 아이들 내용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잔잔한 영화 한편을 감상하는 기분이다. 이제 내 아이뿐 아니라 모든 아이들의 말은 자세하게 들어볼 필요가 있다는 것도 깨닫게 되었다. 그 나름데로의 이유는 분명히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