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한비자 법法 술術로 세상을 논하다 만화로 재미있게 읽는 고전 지혜 시리즈 1
조득필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고전에 빠지기 시작하면서 어떻게 하면 아이들에게 쉽게 접하게 해줄까 고민했다. 도서관에 가서도 여러 책들을 찾았지만 동화형식으로 나온것이 전부였다. 그 외의 것들은 아직 어리다면 어린 울아이들에겐 딱딱하기 그지 없었다. 그런데 이번에 매일경제신문사에서 나온 '만화 한비자 법술로 세상을 논하다.'는 만화로 되어 있어서 접하기도 쉽고 내용도 딱딱하지도 않으면서 교훈을 얻을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공자, 맹자, 장자, 노자는 많이 들어 보았지만 한비자는 근래에 들어 많이 듣는 인물이다. 세상이 어지러울수록 고전에 우리는 눈이 많이 간다. 옛 성인의 말씀을 듣고자 한다. 왜 그럴까?

세상은 변했을지언정 사람사는 세상은 변함이 없기 때문인가 보다.

사람으로 살아감에 오래된 습관이 아니면 갖가지 잘못은 바로 잡을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무서운것은 그 잘못을 스스로 모르고 있는 일이라 한다. 처음에 나오는 십과편에 임금이 몸을 망치고 다리를 잃게 되는 잘못에 열가지가 있음을 각각 그 실례를 들어 훈계하고 있다.

실례를 들음으로써 역사와 고사성어를 함께 익힐수 있는 장점이 숨어져있다.

구례공의 육회명을 살펴보면 "벼슬아치가 사사로운 일을 행하면 벼슬을 잃었을 때 후회하게 되고, 부유했을 때 검소하지 아니하면 가난해 졌을 때 후회하게 되고, 젊어서 기술을 배우지 아니하면 나이가 들어 후회하게 되고, 일을 보고 배우지 아니하면 자신이 일을 할 때 후회하게 되고, 취한 뒤에 망언을 하면 술이 깼을 때 후회하게 되고, 건강할때 몸을 살피지 않으면 병들었을 때 후회한다."란 말이 있다.

이와같이 우리들은 잘 알면서도 지키지 못하고 후회를 거듭하면서 지내고 있다. 위의 육회명을 우리 아이들이 가슴깊이 새겨서 후회하는 횟수가 줄어들기를 바랄뿐이다.

왕과 신하의 관계며 전쟁중 상대국을 속이는 법까지 두루 잃어 두어야 할 내용들로 가득하기에 시간가는줄 모르고 읽어내려간것 같다. 읽고 또 읽어보아도 계속 배움이 나오는 책.

비록 정치쪽은 잘은 몰라도 그냥 듣고 읽기만 해도 고개가 절로 끄덕여지는 책이다.

공자, 맹자가 인간관계에 대해 말한것에 비해 한비자는 세상을 꼬집고 훈계하는 말이 많은것 같다. 그래서 더욱더 요즘 사람들은 한비자를 더 찾는지 모른다.

옛 성인들은 인간의 내면까지 어쩜 이리 속속들이 다 파헤쳐 놓았는지....역시 사상가, 성인이란 말이 그냥 붙여지는 이름이 아닌것 같다.

현재 정치를 하고 있는 사람들이나 자라나는 아이들이 버릴것은 버리고 받아들일것은 받아들일줄 아는 그러면서도 세상 사람들의 말에 귀를 열어놓는 그러한 사람들이 되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