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마 꽃 - 백성들을 굶주림에서 구한, 조엄 아이앤북 문학나눔 2
조경희 지음, 흩날린 그림 / 아이앤북(I&BOOK)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수 있는 옛이야기는 언제나 읽어도 질리지가 않는다.
겨울되면 아이들 영양간식으로 즐겨먹던 고구마.
그러한 고구마의 유래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지 못했다.
영조시절 조엄이란 관리가 일본에 사신으로 가게된다.. 일본으로 보내던 사신을 통신사라고 불렸다.

해사일기는 조엄이 일본에 통신사로 갔을때 그날 그날 보고, 듣고, 느낀점을 빠짐없이 기록한 글이다.
해사일기를 보면 조엄은 일본인들이 고귀마를 먹는것을 보고 조선에 굶주리는 백성들을 위해 가져가야겠다는 생각을 하게된다. 문익점 선생이 붓두껍속에 목화씨를 몰래 숨겨와 백성들을 추위에서 구했듯 조엄은 고구마 종자를 가져가 백성들의 굶주림을 해결할수 있을거라 생각했다.
아들은 아비를 닮는다 했던가 노론,소론으로 나뉘어 당파싸움이 잦을때 언제나 청렴하게 지냈던 노론인 조엄의 아버지는 외톨이였다. 그러한 아버지 밑에서 자란 조엄 역시 노론의 자식이라는 이유로 놀림을 당했지만 불쌍한 이웃을 생각하는 마음은 닮아서 커서도 재물을 탐하지 않았다. 어릴적 제일 많이 괴롭혔던 최홍경과 나중에 인연에 의해 가장 친한 벗이된다. 책속에서 내나이 십대에 만난 지인이 들려주었던 노래가사를 보았다. '아! 여기서 유래된 노래구나' 느끼면서 감회가 새로웠다. 구슬프게 불려져서 아직도 머리속에서 기억되며 엄마를 생각나게 해서 나도 모르게 눈물을 머금게 했었다. 지금도 전해지는 '타박네야' 구전민요이다.

고구마꽃은 백 년에 한 번 길조를 알리기 위해 꽃을 피운단다. 그러한 꽃은 땅속에서 물을 끌어당기다기 지쳐서 피는 거란다. 한마디로 죽을 힘을 다해 핀다는 고구마꽃을 보고 싶다. 
조엄과 최홍경의 우정을 고구마꽃에 비유된것 같다. 일생에 이러한 친구를 만나기는 쉽지 않을터이다.
한편으론 백성들을 생각했던 그들의 마음이 현재의 정치가들에게도 전해졌슴 하는 바램이다.

오늘날 먹게된 일본의 고귀마는 발음이 어려워 고구마로 변했다고 한다. 일본이 우리나라에게 도움이 된적도 있구나 생각하며 쓴웃음을 지어보았다.

오늘따라 나도 개똥참외가 먹고싶다. 우리 엄마 젖맛을 맛보고 싶다. 울엄마가 들으면 기절할 소리지만....ㅎㅎㅎ

조엄과 최홍경에 의해 고구마는 우리나라 전 지역에 퍼졌다. 굶주린 백성들도 배를 채우게 되었다.

그분들의 고마움을 다시한번 깨닫게 되는 시간이였다. 그리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숨은 인재들이 이렇게 많은데 아이앤북의 문학나눔을 통해 알게 되었다. 다른 어떠한 인물들이 훌륭한 일들을 했는지 더욱더 궁금해진다.

 

 

 

 

타박 타박 타박네야 너 어드메 울고 가니
우리 엄마 무덤가에 젖먹으러 찾아간다
산이 높아서 못 간단다 산이 높으면 기어가지
물이 깊어서 못 간단다 물이 깊으면 헤엄쳐 가지

명태 줄랴 명태 싫다 가지 줄랴 가지 싫다
우리 엄마 젖을 다오 우리 엄마 젖을 다오

우리 엄마 무덤가에 기어기어 와서 보니
빛깔 곱고 탐스러운 개똥참외 열렸길래
두손으로 따서 들고 정신 없이 먹어보니
우리 엄마 살아생전 내게 주던 젖맛일세

명태 줄랴 명태 싫다 가지 줄랴 가지 싫다
우리 엄마 젖을 다오 우리 엄마 젖을 다오

우리 엄마 무덤가에 울다울다 잠이 드니
그리웁던 우리 엄마 꿈속으로 찾아오네
반가웁고 놀라운 마음 엄마 치마 끌어안고
엄마엄마 같이 갑시다 타박네야 못간단다

산이 높아서 못 간단다
산이 높으면 기어서 가지
물이 깊어서 못 간단다
물이 깊으면 헤엄쳐가지

타박 타박 타박네야 너 어드메 울고가니
우리 엄마 무덤가에 젖먹으러 나는 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