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마 도노휴 지음, 유소영 옮김 / 21세기북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소설은 영화에서나 나올만한 이야기지만 실제로 일어났던 사건을 바탕으로 씌여졌다는 점에서 두려움이 앞선다.

아마 딸을 두고 있는 입장이라 더욱 그러한가 보다.

길을 가던 여대생을 납치해서 감금한뒤 7년동안 성폭행을 일삼은 올드 닉.

감금당한 여성은 그사이 아이 둘을 낳게 되지만 첫째인 소녀는 잃고 둘째로 소년을 낳는다.

그 소년은 자라서 이제 막 다섯살이 되는 잭.

잭은 태어나서 방 밖을 나와본적이 없다. 잭의 세상은 그저 방이 전부일뿐이다.

만날수 있는 것은 엄마와 텔레비젼과 몇권의 책뿐이다.

일주일에 한번 올드닉의 손에 들고오는 것이 일주일의 식량이자 놀이감이다.

엄마는 방을 탈출하고자 몇번의 시도를 해보았지만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아이를 생각해서 꾀를 낸것이 시체놀이이다.

아이가 극적으로 탈출을 성공할쯤 들통이 나고 마는데.......

책의 내용은 다섯살 난 잭에게 시선을 맞추고 있다. 작가인 엠마도노휴는 엄마입장을 잘 대변할것 같은 저자인데 어떻게 다섯살의 감정을 이리 잘 알까? 다섯살 잭의 눈에 보이는 사물이나 인물들을 표현하는 말은 정말 다섯살만이 할수 있는 그런 표현들이였다.

아니 잭은 다른 다섯살 아이보다는 똑똑했다. 특히 수학부분에 있어서는 말이다.

우리나라와 항상 비교되는 외국경찰관의 도움으로 잭과 엄마는 탈출에 성공하게 된다.

경찰관이 잭의 말을 그냥 무시해 버렸다면....더욱더 끔직한 일이 벌어지지 않았을까?

7년만에 자유를 얻은 잭과 엄마는 또다른 방에서 지내게 된다.

세상의 만남이 처음인 잭은 세상에 나오자 마자 세균들과의 전쟁이다. 두뇌와 언어쪽이 빠른반면 자꾸 넘어지고 부딪치는 증상이 나타나는 잭. 다른 생소한 것들에 대한 공포가 제일 무서운 적이였다.

텔레비젼에서 보았던 것들이 실제로 있다는 것들에 대한 두려움. 엄마아닌 다른 사람들과의 만남이 다섯살에겐 벅찬일이였다.

분재소년은 그렇지만 자라고 있었다.

이제 세상밖으로 나가는 연습을 시작한다.

하지만 자꾸 늑대인간이 생각나는 이유는 뭘까?

우리들도 상황은 다르지만 우리들만의 방에 가두어 지내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본다.

부모님 밑에서 아무걱정없이 살다가 처음 사회생활을 하던때가 생각난다. 얼마나 두렵고 떨렸던지.

이제 우리 아이들도 몇년 후면 그러한 것을 겪게 될것이다.

처음 세상을 향해 발돋움 할때 잭과 그 엄마처럼 용기를 잃지 말라고 전하고싶다.

잭처럼 인사하라 권하고 싶다.

"안녕, 방아"

우리아이들도 이렇게 말할것이다.

"안녕. 용기없던 나 자신아!"

이책을 통해 전세계 곳곳에 아직도 실종되어 돌아오지 못하는 이들이 모두 건강한 모습으로 돌아오길 간절히 바래보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