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영, 내 것을 버려 모두를 구하다 봄나무 사람책 6
김은식 지음, 김호민 그림 / 봄나무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6월은 호국의 달로 이 달만 들어서면 왠지 모르게 숙연해지는 기분이다.

월드컵의 열기로 다른때와는 달리 열기가 가득차 있지만 어제의 6.25는 절대 잊지 못한다.

6.25를 비롯 또 잊을수 없는 그때.

일제시대 우리나라 독립운동가들을 떠올릴수 있을 것이다.

아이들의 사회과목에 이제 막 독립운동가에 대해 많이 나오는 편이라 그런지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다.

많이 알고 있는 김구 선생은 올해로 61주년 추도 기념식을 갖는다고 한다.

난 이책을 보고서야 김구선생과 운동을 같이하신 이회영 선생을 알게 되었다.

사실 역사책에도 그리 많이 나오지 않았던 인물로 알고 있다.

그래서 읽으면서 더 죄송스런 마음이 들었다.

이회영 선생의 집안은 선조 때 영의정을 지낸 이항복 이래 대대로 높은 벼슬을 지내며 엄청난 부와 명예를 누려 온  명문대가였다.

1905년 대한제국이 외교권을 일본에 빼앗긴 '을사늑약'이 맺어졌다. 을사조약으로 알고 있었지만 강제로 맺였다 하여 을사늑약이라 칭한다. 이에 울분을 터트린 김구, 이동녕, 이동희, 노백린, 낭궁억, 이승훈, 최남선, 이상재, 양기탁, 주시경, 윤치호, 이상설, 이시영과 이회영이 청년활동에 동참하게 되었다.

헤이그특사 활동과 3.1운동, 임시정부수립등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역사가 나온다. 이 안에 모두 이회영선생이 포함되어 있었다.

독립운동을 하는 와중에 죽음을 부르는 동지들....

이회영선생은 그들을 외면할수 없었다. 자신의 모든 재산을 털어 독립운동자금으로 씌여졌다.

그저 외면할수도 있었던 상황이였지만 이회영선생은 그러지 아니했다.

독립운동은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닌가 보다.

나라 위해 이렇게 몸 바치신 분들이 있어 이렇게 편안세상을 살고 있다 생각하면 저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한편으로 일제시대때의 일을 까막히 잊고 살아온것이 죄송스럽다.

월드컵을 보며 일본과 다른나라가 싸우면 같은 아시아란 이유로 우리는 일본을 응원한다.

독립운동하셨던 이회영 선생은 뭐라하실까?

우리는 절대로 이분들을 잊지 말아야겠다. 절대로...

각주를 통해 많은분들에 대해 알게 되었다. 꼭 빼먹지 말고 읽기를 권하고 싶다.

이회영 선생님 당신을 꼭 기억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