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 1
마크 레비 지음, 강미란 옮김 / 열림원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새벽은 어디에서 시작 되나요"

정말 궁금했다. 왜 진작 생각해 보질 않았을까?

마크 레비의 장편소설 낮을 읽고 왜 제목이 낮이라 지었을까? 하는 의문도 들었다.

책을 읽는 내내 궁금증만 더해가고 있다. 풀릴듯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같은 그것을 궁금해하며 한장한장 넘겼다.

 

주인공 남자는 안드리아노스다. 어머니의 고향을 제외하곤 안드리안으로 불린다. 항상 하늘의 별에 관심이 많은 천체물리학자이다.

주인공 여자는 키이라이다. 항상 땅속에서 최초의 인류를  발견하길 바라는 고고학자이다.

하늘과 땅의 만남. 이 둘의 만남을 우리는 우연이라 칭해야되나?

키이라는 에디오피아의 오모계곡 탐사현장에서 고아가 된  아리를 만난다.

아리로부터 선물로 받은 목걸이.

이 목걸이로 인해 수난을 겪게 되리라곤 키이라는 생각하지 못했다.

목걸이의 정체는 무얼일까?

15년전 아쉬운 짝사랑으로 헤어져야만 했던 안드리안과 키이라는 목걸이로 인해 다시 재회를 하게된다.

안드리안과 키이라가 목걸이에 대해 궁금증을 해결하려 할때마다 방해하는 사람들.

내용이 전개될수록 궁금증만 깊어만가게 만드는 목걸이의 정체.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 에디오피아등 여러나라를 오가게 만드는 모험과 서스팬스를 그려낸 낮.

이 책을 읽다보면 한편의 영화를 보는듯 하다. 고고학과 천문학이 뒤섞인 모험의 세계.

 

언니가 없는 난 키이라가 부러울때가 한두번이 아니다. 어려울일 당할때마다 때론 친구, 부모역활을 톡톡히 해주는 언니가 있어서이다. 자매란 이런것이구나 느낄정도로 언니가 없슴에 아쉬워했다.

작가는 코믹성도 잊지 않았다. 월터란 인물로 조연들의 매력에 빠질것이다...

이보리 교수또한 궁금증에 기름을 붓고 불을 던지는 격이다.

어서 2편을 읽어봐야겠다.

 

과학자들이 가장 참된 겸손함이란 불가능은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이라 한다.

하늘의 세계는 참 오묘하다. 계절마다 바뀌는 별자리를  보고 운명을 결정 짓기도 한다.

별자리 체험가서 본 별들이 보고 싶다. 천제망원경으로 본 별들은 정말 신비로웠다. 그냥 밤에 올려다 보던 별들과는 다른 느낌들이였다. 바로 내 눈앞까지 온 별세계에는 누군가 살지 않을까하는 차각도 들게 했다.

달표면을 들여보았을때 그 기분은 말로 표현하지 못한다.

고고학자란 직업도 따분하게만 느꼈었는데 키이라의 열정을 보며 흥미로워지고 있다.

어서 모험을 계속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