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라이프 - 카모메 식당, 그들의 따뜻한 식탁 Life 라이프 1
이이지마 나미 지음, 오오에 히로유키 사진 / 시드페이퍼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요리책을 접한지가 꽤 오래된것 같다.

신혼땐 그래도 음식좀 해보겠다고 요리책을 뒤적뒤적이였는데 이제 삼남매를 낳은 이 시점에선 대충이란 요리가 맞을 것이다.

그저 내 기분 내키는데로 그날 그날 요리와 맛이 달라진다.

그런데 왜 같은 대충했다는 음식이 울엄마나 어머니가 해주시면 전혀 다른 맛난 음식이 될까?

그것은 자식과 남편을 생각하는 정성이란 조미료가 가미된것을 이제야 깨달았다.

 

영화 <카모메 식당>의 음식감독이 쓴 책이라는데 책을 넘겨보며 꼭 영화를 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음식속에서 따뜻함이 느껴진다면 거짓일까?

일반요리책을 접하면 썰렁한 느낌이 많았던 반면 이 책은 내 엄마나 어머니를 만난듯 따뜻한 느낌이 손끝에 전해진다.

풍성해 보이는 덩치에 해맑게 웃음지어 보이는 이이지마 나미씨의 얼굴을 보며 나와 닮아서(?)인지 더 친밀한 느낌이 난다.

 

일단 자기 나름의 연구는 접어두고, 레시피 그대로 만들어보세요.

여러분 자신과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만들어서 함께 드세요.

 

레시피를 보면 정말 어려울것도 없었다. 이렇게 손쉬운것을 왜 몰랐을까? 싶을 정도로 정말 따라하기 쉬웠다.

우선 우리아이들이 좋아하는 스파게티가 소개로 시작되는 음식은 둘만의 아침식사란 제목하에 간단한 토스트의 아침이다.

봄날의 유뷰초밥...일본의 대표음식중에 하나가 아닌가?

가라아게란 음식은 우리나라 후라이드 치킨을 연상케 했다. 핫케이크, 샌드위치, 햄버그 스테이크등 내가 해본 음식들도 있었다.

해보고 싶은 음식으로 가족 행사가 있을때 내놓으면 좋을듯 싶은 지라시즈시.

초밥과 밥에 여러가지 재료들이 들어가서 색다른 해산물 볶음밥을 연상케하면서 넘 먹음직 스럽다.

아이들 생일때마다 해먹었던 수수팥떡과 비슷한 오하기.

우리는 찹쌀가루를 반죽한 다음 둥글게 해서 한번 데쳐낸 다음 수수나 팥가루를 묻치는 반면 오하기는 찹쌀과 쌀을 섞어서 고슬고슬한 밥을 한다음 모양을 내어 팥고물로 에워싸는 형이다.

사람들은 언어가 통하지 않을때 음식이나 몸동작만으로도 통한다고 하더니 그러한 모양이다.

일본은 더군다나 우리나라와 더 가까이 사는 만큼 비슷한 음식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이 책에서 색다른 것은 영화 전문 음식감독이라 그런지 일본문화에 가까운 음식보단 서양음식이 많다.

저자가 일본인이라 일본음식이 많이 나올꺼라 생각했는데 이제 음식문화는 세계화가 되었나 보다.

빨리빨리의 문화에 익숙해진 우리나라 사람들을 비롯해서 이젠 다른나라들도 복잡한것을 피하게 된다.

음식또한 빨리 해먹을수 있는 것을 찾다보니 스파게티나 샌드위치 등 그리 손많이 가지 않는 음식들이 유행이다.

 

나한테는 그게 떠오르지 않지만 분명히 다른 사람이 떠올릴 거예요.

그러니까 내가 떠올리지 못햇던 그 음식을 없애지 마세요.

 

음식은 해주는 사람이나 그것을 맛있게 먹어주는 사람이나 모두 행복해야 한다고 한다.

내가 정성들여 한 음식을 가족이 정말정말 맛있게 먹고 " 잘 먹었어!" 라고 한마디 건네줄때 난 힘이난다.

음식이란 별것도 아닌것처럼 여겨지지만 제일 중요한 우리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이것이 대단한 에너지를 지니고 있다.

바쁜 하루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한번쯤 여유를 갖고 이 책을 펼치고 레시피데로 따라해보는 것은 어떨까?

온가족이 모여 요리를 하며 즐거운 소풍이나 소박한 파티를 열어보는것도 괜찮을듯 싶다.

LIFE의 요리 중간 중간에 에세이가 담겨있어 그 요리만의 행복을 전해 받을수 있다.

요리하는 행복을 LIFE에서 느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