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 - 괴짜라 불린 천재 과학자 Who Was 후워즈 어린이 롤모델 시리즈 1
제스 브랠리어 지음, 지소철 옮김, 로버트 앤드류 파커 그림 / 을파소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울아들은 과학을 참 좋아한다. 아직까진 과학분야를 가리지 않고 책을 읽고 있다.

직접 실험도 하면 좋겠지만 집에선 어린 동생의 방해 덕분에 실험대신 책을 많이 보는 편이다.

고학년이 될수록 위인전을 많이 읽히라는 어느 책의 권유대로 아들에게 한권의 책을 내밀었다.

바로 아인슈타인이다. 과학책만 읽지 말고 그 과학을 발명한 위인도 읽어 보라고 한마디 거들면서......

아인슈타인하면 왜 '백튜더퓨쳐'의 박사가 먼저 떠오르는지 모르겠다. 

앞머리가 훤하고 뒷머리가 폭탄맞은 듯한 흰머리라 그런가?

 

아들은 책을 다 읽곤 "엄마! 위인이 되려면 괴짜여야 하나봐! 엉뚱해. 나도 엉뚱하니까 위인 되겠지? " 한다.

 

아인슈타인은 말한다.

"세상을 사는 방식에는 딱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그 어느 것도 기적이 아니라고 믿고 사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세상 모든 것이 기적이라고 믿고 사는 것이다."

 

엉뚱한 생각으로 가득찬 아들은 아인슈타인과 비슷한 점이 많다.

호기심도 많고 질문이 끊임없이 나온다. 왜 그런 질문을 할까?, 저 정도 나이이면 스스로 알려하지 않을까? 생각하지만 우리 아들의 질문은 또다시 나를 3차원에서 4차원으로 이끈다.

TV오락 프로에서 보면 엉뚱한 말을 하는 사람을 4차원이라 한다. 하지만 3차원과 4차원의 차이는 이렇다.

3차원 : 길이, 넓이, 깊이로 사물을 측정하는 반면, 4차원에는 시간이 추가된다.

아인슈타인이 말하는 4차원의 시간측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우주를 여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지 않고, 우주 공간의 크기에 대해 설명하는 것은 가사가 빠진 노래를 따라 부르는 것과 같다한다. 즉 가장 중요한 것이 빠져 있다는 말이다.

 

괴짜이지만 천재였던 아인슈타인을 보면 사람은 살아가면서 모든지 다 잘 이루어낼수는 없는건가 하고 회의를 느낀다. 자신만의 과학을 위해 아내 밀레바와 헤어진것이 그러하다.

과학을 위해 가족을 버렸다고 봐야할지.... 아인슈타인 본인이 희생했다고 봐야할지.......

그것은 보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 다르리라....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으로 유명한 것은 모든 사람들이 잘 알고 있으리라.

그러면 우리가 즐겨보는 TV가 아인슈타인으로 인해 발명되었는지는 알고계시는지?

1922년 아인슈타인은 '광전효과'에 대한 연구로 최고의 상인 노벨상을 받았고, 이 광전 효과 이론은 텔레비젼의 발명을 가졌왔다.

바이올린을 좋아했던 아인슈타인. E=mc²를 성립시켰던 아인슈타인.

원자폭탄을 떠올리게 하는 아인슈타인. 그는 1955년 세상을 떠났다.

죽을때까지 자신의 뇌를 과학을 위해 기증했다는데 과연 아인슈타인의 뇌는 어디에 있을까?

 

" A를 성공이라고 하면, A=X+Y+Z이다.

여기에서 X는 일하는 것이고, Y는 노는 것, 그리고 Z는 입을 다무는 것이다."

 

"처음에 미친 소리처럼 들리지 않는 아이디어는 기대할게 없다"

 

이 두마디가 아직도 내 뇌에서 맴돌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