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부모의 용기 있는 한마디, 안돼! - 부모와 아이 사이에도 절제된 사랑이 필요하다
로베르 랑지 지음, 이소영 옮김 / 타임북스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버릇없는 아이' 란 부보가 너무 애지중지해서 온갖 변덕을 다 받아준 탓에 버릇이 없어진 아이. 더 넓은 의미에서는 자기가 무엇을 워하면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남들이 들어주는 데 익숙해진 변덕스러운 사람을 뜻한다.

 

'부모와 아이사이에도 절제된 사랑이 필요하다.'라고 외치고 있다.

좋은 부모의 용기있는 한마디 안돼! 의 저자 로베르 랑지이다.

 

아이셋을 낳아서 키우고 있지만 자녀양육서는 처음이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첫째아이를 키우면서 정말 난감할때가 많아 손때가 묻어나도록 보았던 육아서를 비록해서 이제는 아이의 공부에 대한 지침서를 주로 읽는 편이 되었다.

 

어떤 책에선 '안돼!'라는 단어를 사용하면 안된다고 한다. 그 이유가 아이의 창의력을 떨어지게 만든다고 해서이다. 하지만 아이를 키워본 부모라면 알것이다. '안돼'라는 단어를 왜 사용해야되는지...

우리집은 '안돼'라는 단어를 아이의 버릇없는 행동보단 아이의 안전을 위해 더 많이 사용한것 같다.

아이의 조금만 상처도 용납하지 않는 남편이 있어서였다. 덕분에 아이 셋 모두 흉터하나 없이 잘 키우고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선 '안돼'라는 단어를 적절히 사용하도록 권하고 있다.

 

부모를 아이의 노예로 만드고 아이에게도 악영향을 끼치는 13가지 조건에서 충격이였다.  p37~41 참조

이러한 관계가 계속된다면 아이는 버릇없어지고, 교만해지고, 남을 통제하려든다고 한다. 나쁜 성향이 행동으로 옮겨지면서 또 다른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단다.

이러한 아이의 잘못된 것을 미리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안돼'라는 말이 필요하다.

이렇게 해야 부모와 아이 모두 더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다.

 

요즘엔 아이을 하나만 낳아 기르는 경우가 많다보니 더욱 자식에 대한 사랑이 커질수밖에 없다.

그러다 보니 아이가 원하는 것은 모두 들어주는 부모가 생긴다. 맞벌이란 이유로 아이에게 소홀해 졌을까봐...

혼자있는 시간이 많은 아이가 불쌍하다는 이유로...그렇게 방치해 두었다.

 

아이가 하나나 둘, 셋이나 자식에 대한 사랑은 모두 같을 것이다. 누구 자식은 귀하고 누구 자식은 귀하지 않은건 아닐 것이다. 그 부모들 나름대로 버릇없이 키우지 않기 위해...남에게 해를 끼치는 아이가 되지 않게 하기위해...현명한 아이로 자라주길 바래서 우리는 외치는 것이다. 안돼라고...

아이를 제대로 사랑하는 방법부터 찾아야하지 않을까 한다.

 

감사할줄 아는 아이로 만들기 위한 세가지 규칙    p64~65

1. 부모가 무엇이든 다 해주는 것을 절대 당연히 여기지 않도록 가르쳐야 한다.

2, 아이에게 사물의 가치를 알려줘야 한다.

3. 아이는 부모가 '안 돼'라고 말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확실히 알아야'한다.

 

왜 '안 돼'인지 설명하는 방법이 내재되어있어 참고하면 좋겠다.

 

이 책을 읽으면서 본것을 아직 어린 울 막둥이에게 실천해 보았다.

하지만 아이는 아이인 모양이다. 잘 알아듣는듯 하더니 여전히 행동은 멈추질 않는다. 웃으면서...

난 아이인것을 깜박한것이다. 아직 어리지만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설명해 준다면 언젠가는 울 막둥이도 '안 돼'라는 의미를 깨닫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3부에 씌여진 언제 '안 돼'라고 말할 것인가?라는 부분은 책을 가까이 두고 수시로 읽어봐야겠다.

좋은 부모가 되는 것은 어렵다. 하지만 아이를 망치지 않기 위해서라도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은 한번쯤이라도 이책을 읽어보라 권하고 싶다. 왜 '안 돼'가 필요한지에 대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